Q

[질문] 컴퓨팅과 스토리지에서 네트워크까지 가상화되고 나면 SDDC가 완정된 것인지요? 또 해야 하는게 있는지요? 또한 이런 가상화를 하나의 통합관리툴에서 관리하면 좋을것 같은데 이런부분의 지원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이규승 2020-11-03 15:24
A

네 작은 SDDC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통합 관리 툴은 뒤에서 다시 설명 드립니다.

이주환 2020-11-03 15:25
Q

[질문] 네트워크 자동화를 이루면서 속도나 보안 이슈는 없나요?

이종우 2020-11-03 15: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지능형 인프라에 빅데이텀 및 AI 화 관련 솔루션으로 기 시장에 출시/디버깅된 것이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해당 솔루션의 글로벌화 진행 시의 컴퓨팅의 지원범위도 가이드 요청드립니다.

장혁수 2020-11-03 15: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필요에 따라 인스턴스를 나누어 쓸수도 있나요?

강덕진 2020-11-03 15:21
A

네 가능합니다.

Q

[질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다각화하고 있는데, Core Computing 및 Edge Computing 측면에서 보안정칙을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임종택 2020-11-03 15:19
A

앱스트라 질문 사항이 신가요?

Q

(질문) 유용할것 같긴한데요. 혹시 단점이나 사용상 불편한 점은 없습니까?

강덕진 2020-11-03 15:15
A

레퍼런스 디자인에 대한 부분을 벗어나지 않는 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리프 스파인 구조에 VXLAN/EVPN 디자인을 BGP 언더레이로 제공합니다.

Q

[질문] 이상트래픽 설정 후 자동차단기능도 제공하는지요? 조치완료 후 해제 및 분석리포트는?

김수열 2020-11-03 15:12
A

원하시는 형태의 분석 리포트 수준에 대해서 눈높이가 다를 수 있지만, IBA들 모음을 분석리포트화 할 수 있습니다.

Q

[질문] 자동화 시스템이 관리자의 업무를 많이 줄여줄수 있어 좋습니다. 다만 관리자의 ID가 탈취되거나 도용되었을때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클것으로 판되는데요. 이부분 대비를 위한 보안 조치는 어떤것들이 있는지요?

이규승 2020-11-03 15:11
A

각 계정별 R&R 지정이 가능하며, 관리자 ID 뿐만 아니라 특정 IP 제어를 통해서 관리가 가능합니다.

Q

[질문] 도입하여 운영시, 동시접속의 인원제한이 크게 적용되나요?

김성균 2020-11-03 15:11
A

동시 운용시 RBAC 기능을 이용하여 인원 제한 / 권한 제한이 가능합니다.

Q

[질문]데이터 센터에서 네트워크 자동 운용을 위해 구성에 유의할 점이 있는지요?

지정호 2020-11-03 15:09
A

BGP 언더레이 VXLAN/EVPN 오버레이를 제안드리고 있습니다.

Q

(질문) 이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얻을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1-03 15:08
A

Software First 정책으로 멀티벤더 운용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디자인, 구축, 운용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가능합니다.

Q

[질문] 기가몬 도입시 초기 구축비용과 운영상에서의 유지보수 비용의 경쟁력이 어떻게 되는지요??

김상현 2020-11-03 15:05
A

기가몬과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데이터 센터 스위치에 대한 디자인, 구축, 운용을 하는 솔루션입니다.

Q

[질문]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에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지 그리고 운영 비용은 어느 정도까지 절감이 되는지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1-03 15:04
A

앱스트라에서는 IBA를 통해서 실시간 감지하며, https://apstra.com/ko/korea/why-apstra/data-center-network-automation-savings-calculator/ 앱스트라 홈페이지에서 카펙스 오펙스 계산을 해보실수 있습니다.

Q

[질문] 네트워크 자동 운용에서 인프라 민첩성 효율이 무척 높은데요, 네트워크 관리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도입이 가능한가요?

오태정 2020-11-03 15:01
A

기본적인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를 이해하신다면 특정 벤더의 설정 기술이 없어도 도입이 가능합니다.

Q

[질문] 아키텍처 설계부터 클라우드의 안정적인 운영 그리고 자동화하는 로드맵을 계획해야 하는데 경험과 전문인력이 없는 기업의 경우에 도입전에 전략 수립이나 경험을 할 수도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1-03 14:56
A

저희가 별도의 컨설팅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신청해 주시면 프로그램을 설명드리겠습니다.

박주상 2020-11-03 14:57
Q

[질문] Object Storage 등 Trend에 대응하는 솔루션 Set도 준비되어 있는지 궁금합니다.

박완주 2020-11-03 14:45
A

SDDC 및 DX를 위한 시스템으로 가장 많이 언급되는 솔루션 중 하나가 바로 Object Storage입니다. 제품명 HCP 라는 Object Storage가 있으며, IDC 'Obejct Scale' 분야에 No.1 랭킹되어 있습니다. HCP는 어플라이언스 제품으로써 HW 인프라로도 구축가능하며 HCI 기반의 가상화 환경에 SW로도 구축가능합니다. 더블어 API를 통해 퍼블릭클라우드 와의 연동도 가능합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

Q

[질문] DX 시대에 가장 효율적인 그리고 비용절감적인 IT 운영전략을 효성인포메이션 시스템에서는 어떻게 가져가고 있는지요?

김상현 2020-11-03 14:45
A

온프레미스와 퍼블릭 두 가지 측면으로 보자면, 온프레미스 환경에서는 고객사 업무 특성에 맞는 최적의 인프라(HCI or 외장형 스토리지)를 구성하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정의 단일 통합 솔루션을 통해 운영비용 최적화 및 가용성 극대화 전략을 고객사에 제시하고 있습니다. 퍼블릭 구성시에는 기존에 온프레미스에서 운영 중인 시스템의 리플랫폼 비용 최소화를 통해 중복 투자 방지 및 운영효율성 극대화를 가져가고 있습니다. 더욱 자세한 내용은 추후 추가 문의 주시면 답변드릴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좋은 질문 감사합니다 ^^

Q

(질문) 온프레미스에서 단일, 멀티,하이브리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안 측면에서 사전 작업이 필요한 내용과 유의할 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1-03 14:44
A

고객사 환경 분석에 따른 올바른 클라우드 전략을 가지고 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멀티클라우드의 방향이 설정 된다면 업무에 따른 클라우드 선정이 필요할것으로 판단됩니다.

박주상 2020-11-03 15:00
Q

[질문] 효성인포메이션시스템은 클라우드 서비스 업체중 주로 어느 브랜드와 주로 협업을 하고 있나요? AWS 인가요?

김상훈 2020-11-03 14:42
A

현재 다수의 고객사들과 가장 활발하게 검토되고 있는 클라우드 서비스는 AWS 입니다.

A

본사는 기본적으로 멀티클라우드 정책을 기본으로 하고 있으며 VMC On AWS를 통해 AWS를 우선 지원하고 있습니다.

박주상 2020-11-03 14:54
Q

[질문] 기업의 데이터 센터 운영을 보안상의 이유로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것은 다소 구시대적인 접근인가요?

김성균 2020-11-03 14:3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