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운영상 비용절감 요소가 있다면 말씀해주실수 있을까요?

방극민 2020-10-07 15:26
A

개별 지점장비를 관리하는 방식이 아닌 운영정책에 따라 해당 지점장비가 관리되므로 망이 확장되도 운영부담이 적습니다. 또한 전체네트워크 또는 특정구간에 대해 L7어플리케이션 수준의 망분석 정보를 제공합니다.

신명철 2020-10-07 15:31
A

고비용 회선과 저비용 고대역폭 회선 등을 조합하여 다양한 업무 연결을 구성하실 수 있으므로 회선비를 절감하실 수 있습니다.

최성남 2020-10-07 15:32
Q

[질문] 클라우드형 매니지드 sd-wan구성에서 지점 및 본사간 네트워크 장애시 우회구성 네트워크를 장애시만 운영할수있는 솔루션이 있나요?

양재영 2020-10-07 15:18
A

지점 업링크 설정 시에 유선 업링크 장애시에 모바일(4G/5G) 링크를 사용하도록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최성남 2020-10-07 15:21
Q

[질문] 대시보드 커스터마이징도 가능한 것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0-07 15:14
A

대시보드는 다양한 포틀릿 기반의 커스터마이징을 지원합니다. 다양한 관제, 보고서, 구성설정 등의 포틀릿 목록을 제공하며 위치와 크기를 사용자가 사용자 계정별로 설정하실 수 있습니다. 사용자 별로 업무에 따라 보시려는 대시보드 화면을 설정하시어 한 눈에 보실 수 있습니다.

최성남 2020-10-07 15:17
Q

[질문]설명하신것 처럼 노키아의 누와지 SD-WAN이 10년 노하우를 가진 SD-WAN이라고 이해 해도 되는것인가요 ?

지규성 2020-10-07 15:07
A

네, 그렇습니다. SD-WAN 제품 가운데 가장 먼저 시작한 솔루션으로 통신사 시장에서도 시장점유율이 가장 높은 솔루션입니다.

최성남 2020-10-07 15:13
Q

[질문]클라우드 기반의 SD-wan과 타 기반(온프레미스 등)의 SD-wan과 비교시, 1.비용측면 2.관리(속도 보장 등),장애 측면 3.보안 3개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지정호 2020-10-07 15:06
A

클라우드기반은 낮은 투자비용으로 SDWAN서비스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유저데이터는 클라우드기반과 오프레미스 동일하게 지점 간 직접 전달됩니다. 컨트롤 트래픽만 클라우드로 전달되기 때문에 사용자 트래픽에 대한 보안은 동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신명철 2020-10-07 15:11
A

Nokia는 클라우드기반, 온프레미스 기반, SP플랫폼 기반 등의 모든 방식의 솔루션을 제공합니다. 비용측면에서는 클라우드 기반이나 SP플랫폼 기반을 사용하시면 초기 투자비용을 최소화하실 수 있습니다. 관리나 장애 측면에서는 클라우드나 SP 플랫폼 기반으로 가실 때 안정적인 서비스 운용을 하실 수 있습니다. 온프레미스로 가시고 운영을 내재화하시게 되면 장애처리를 더 신속하게 하실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보안 측면에서는 컨트롤러 및 관리 플랫폼을 온프레미스로 가져가시면 플랫폼 레벨의 보안을 더 강화하 실 수 있습니다. 보안 측면에서는 클라우드 기반 플랫폼도 이미 PCI-DSS, FIPS-140-2 인증을 받았으므로 표준적인 보안 수준을 지원합니다.

최성남 2020-10-07 15:11
Q

[질문] 라이센스 정책이 어떻게 되나요? 그룹 차원에서 국내 도입 후, 해외 영역까지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아니면 각 국가 도메인별로 별도 계약 및 구축을 해야하나요

이탁근 2020-10-07 15:01
A

필요한 서비스 모듈(Edition)을 선택 하고 사용자 수를 기반으로 라이센스가 활용됩니다.

인승진 2020-10-07 15:02
A

선택한 서비스 Edition을 구매한 인원에 따라 글로벌로 활용 가능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5:04
A

사용자 수로 라이센스 되며, 그룹내에서 통합 관리 가능하며, 설치 구성 운영은 별도로 원하시는 형태로 구성 가능합니다.

이헌주 2020-10-07 15:03
Q

(질문) 랜섬웨어에 걸린 데어터가 있다면 어떤 방식으로 백업을 처리해야 보안상 가장 안전한지 말씀해 주세요?

방극민 2020-10-07 14:59
A

지스케일러는 단말 자체의 보안이 아닌 단말의 인터넷 / 클라우드 트래픽에 대한 보안을 적용함으로, 랜섬웨어에 감염된 단말이 C&C 등과 접속하는 과정을 차단 하는 방식 입니다.

인승진 2020-10-07 15:01
Q

[질문]SD-WAN사용 환경과 연동이 되는지요?

조수정 2020-10-07 14:59
A

주요 SD-WAN 제조사들과 이미 호환 및 통합되어 있으므로, SD-WAN 구간에도 기존 지스케일러 사용 구간과 동일하게 보안 서비스 및 정책 적용 됩니다.

이헌주 2020-10-07 15:00
Q

[질문] 아무리 좋은 규정이나 솔루션이 있어도 제대로 운영하지 않으면 구멍이 날수 밖에 없을텐데요. 준수 여부에 대해서는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이규승 2020-10-07 14:5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전사적 표준 보안 정책이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그럼 재택근무 할 때도 사무실에 근무 할 때와 똑같이 보안 정책이 수행되는 것인가요?

방제원 2020-10-07 14:57
A

사무실, 재택근무, 출장, 외부 등 장소의 물리적 제약은 없습니다. 임직원 개개인이 어디에 있던 보안 정책과 서비스가 적용됩니다.

이헌주 2020-10-07 14:59
Q

[질문] 통합보안이면 전직원 또는 본사나 지사에 똑같은 정책으로 사용해야 되나요?

김수현 2020-10-07 14:57
A

통합보안: 본사, 지사, 그룹, 지역, 부서별, 개인 등등 정책을 세분화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국가별 컴플라이언스에 맞도록 정책을 운영할 수 있습니다.

이헌주 2020-10-07 14:58
A

기업의 통합 정책을 기본으로 운영하며 필요한 경우 부서나 인력별 개별 정책을 추가적으로 설정 하여 운영이 가능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9
Q

[질문]오피스365를 도입하려고 하는데, 보안과 네트워크 정책이 까다롭습니다. 지스케일러는 이런 경우에 어떻게 지원하시는 지요?

이상욱 2020-10-07 14:57
A

지스케일러는 O365의 보안정책이 자동 적용됩니다. 지속적인 업데이트, 변경이 지속적으로 자동 적용되므로 서비스 관리가 간단해 집니다. 그리고 귀사의 O365 사용에 대한 정보를 보여드리므로 가시성 확보에도 도움을 드립니다. MS O365에서 추천하는 보아 솔루션 입니다.

이헌주 2020-10-07 14:57
Q

[질문]멀티클라우드구성에서 장애대비 권고하는 dr백업 구성 네트워크 망구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0-07 14:5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loud플랫폼에서 사용자별로 보안 접근 레벨이 차이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는데 발표자료에서 동일 보안 레벨이라고 보았는데 설명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0-0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사용자의 단말이 감염되거나 문제(랜섬웨어 등)가 있을 때, ZTNA에 접속하면 어떤 방식으로 탐지하여 격리 등 어떤 처리가 되는지 문의합니다.

지정호 2020-10-07 14:5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도입 초기부터 멀티클라우드로 전환을 고려해야할 경우 주의할 점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방극민 2020-10-07 14:52
A

일반적으로 기존 장비 기반의 서비스의 경우는 멀티 클라우드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나, 지스케일러의 서비스는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멀티 테넌트 서비스를 근간으로 시작 하여 추가적인 고민 없이 멀티 글라우드 환경을 지원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4
Q

[질문] Zscaler DLP에 대한 설명도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0-07 14:4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사내 Compliance 대응을 위한 SASE 커스터마이징이 가능할까요?

박완주 2020-10-07 14:48
A

필요한 기능, 정책 모두 회사별로 별도 설정 및 관리 됩니다.

이헌주 2020-10-07 14:49
A

SASE 프레임을 기반으로 사내 Complince를 위해 필요한 솔루션 / 서비스 모델을 구축 하여야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2
Q

[질문]SASE(Secure Access Service Edge)’과 기능 vpn암호화 솔루션과 차별성과 장단점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0-10-07 14:47
A

SASE 프레임워크 중 ZTNA 아키텍쳐가 기존의 VPN의 한계를 개선하는 방식 입니다. 가장 큰 차이점은 기존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방식 이라면, ZTNA의 경우는 사용자와 애플리케이션을 연결하고 외부에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는 IP나 DNS정보를 유출 하지 않도록 지원 합니다.

인승진 2020-10-07 14:50
Q

[질문] ZTNA솔루션인 ZPA가 IPsec 또는 SSL-VPN을 대체하는 솔루션으로 이해하면 되는건가요? 만일 그렇다면 왜 일반 VPN솔루션은 안정적이지 않다고 봐야 할까요?

이승조 2020-10-07 14:46
A

기존 VPN의 경우는 외부에 VPN서비스 지원을 위한 주소를 DNS로 등록 하고 이 경우는 외부에 공개되며, 공격의 대상이 됩니다. ZPA의 경우는 외부에 서비스에 대해 공개되는 IP나 정보가 없이 안전한 터널 연결을 지원합니다. 즉 공격을 하고 싶어도 공격 주소를 찾을 수 없습니다.

인승진 2020-10-07 14: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