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기업 내부에 있는 네트워크 연결이 제한되는 OT환경에서도 구현이 가능할까요?

이규승 2020-11-03 15:31
A

네 패쇄망에서도 사용이 가능합니다.

이주환 2020-11-03 15:32
A

VDld가 뭘까요?

이주환 2020-11-03 15:30
A

GS1등급 인증과 보안기능시험확인서를 보유한 국내 원천 기술이 적용되었다는 점이 자사 서비스의 특장점입니다.

편성국 2020-11-03 15:29
A

이제부터 설명드리는 내용을 들으시면 이해가 되실겁니다.

이주환 2020-11-03 15:29
Q

(질문) 온프레미스에서 단일, 멀티, 하이브리드로 전환하기 위한 보안 측면에서 사전 작업이 필요한 내용과 유의할 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1-03 15:27
A

보안은 1차 관문보안과 2차 클라우드 보안으로 나눌 수 있는데 보안을 댓글로 답글드리기에는 너무 방대합니다.

이주환 2020-11-03 15:29
Q

[질문] 개방형 HCI는 벤더의 하드웨어 제품이 어떤것인지는 중요치 않다는 의미인지요?

이규승 2020-11-03 15:27
A

네 범용 x86이면 아무거나 상관 없습니다.

이주환 2020-11-03 15:28
Q

[질문] 모니터링을 할 때 문제가 발생해서 관리자에게 알람을 줄 때 어떤 방법들을 제공하나요?

이종우 2020-11-03 15:24
A

임계치를 설정 후 임계치를 넘어가는 자원이 생기면 알람페이지에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주환 2020-11-03 15:28
Q

[질문] 컴퓨팅과 스토리지에서 네트워크까지 가상화되고 나면 SDDC가 완정된 것인지요? 또 해야 하는게 있는지요? 또한 이런 가상화를 하나의 통합관리툴에서 관리하면 좋을것 같은데 이런부분의 지원은 어떤지 궁금합니다

이규승 2020-11-03 15:24
A

네 작은 SDDC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통합 관리 툴은 뒤에서 다시 설명 드립니다.

이주환 2020-11-03 15:25
Q

[질문] 네트워크 자동화를 이루면서 속도나 보안 이슈는 없나요?

이종우 2020-11-03 15: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지능형 인프라에 빅데이텀 및 AI 화 관련 솔루션으로 기 시장에 출시/디버깅된 것이 있으면 소개 부탁드립니다. 그리고 해당 솔루션의 글로벌화 진행 시의 컴퓨팅의 지원범위도 가이드 요청드립니다.

장혁수 2020-11-03 15:2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필요에 따라 인스턴스를 나누어 쓸수도 있나요?

강덕진 2020-11-03 15:21
A

네 가능합니다.

Q

[질문]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을 위해 빅데이터 분석 및 활용을 다각화하고 있는데, Core Computing 및 Edge Computing 측면에서 보안정칙을 어떻게 가져가면 좋을까요.

임종택 2020-11-03 15:19
A

앱스트라 질문 사항이 신가요?

Q

(질문) 유용할것 같긴한데요. 혹시 단점이나 사용상 불편한 점은 없습니까?

강덕진 2020-11-03 15:15
A

레퍼런스 디자인에 대한 부분을 벗어나지 않는 다면 큰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일반적인 리프 스파인 구조에 VXLAN/EVPN 디자인을 BGP 언더레이로 제공합니다.

Q

[질문] 이상트래픽 설정 후 자동차단기능도 제공하는지요? 조치완료 후 해제 및 분석리포트는?

김수열 2020-11-03 15:12
A

원하시는 형태의 분석 리포트 수준에 대해서 눈높이가 다를 수 있지만, IBA들 모음을 분석리포트화 할 수 있습니다.

Q

[질문] 자동화 시스템이 관리자의 업무를 많이 줄여줄수 있어 좋습니다. 다만 관리자의 ID가 탈취되거나 도용되었을때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이 클것으로 판되는데요. 이부분 대비를 위한 보안 조치는 어떤것들이 있는지요?

이규승 2020-11-03 15:11
A

각 계정별 R&R 지정이 가능하며, 관리자 ID 뿐만 아니라 특정 IP 제어를 통해서 관리가 가능합니다.

Q

[질문] 도입하여 운영시, 동시접속의 인원제한이 크게 적용되나요?

김성균 2020-11-03 15:11
A

동시 운용시 RBAC 기능을 이용하여 인원 제한 / 권한 제한이 가능합니다.

Q

[질문]데이터 센터에서 네트워크 자동 운용을 위해 구성에 유의할 점이 있는지요?

지정호 2020-11-03 15:09
A

BGP 언더레이 VXLAN/EVPN 오버레이를 제안드리고 있습니다.

Q

(질문) 이 장비를 사용함으로써 얻을수 있는 가장 큰 장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1-03 15:08
A

Software First 정책으로 멀티벤더 운용이 가능하며, 네트워크 디자인, 구축, 운용을 하나의 플랫폼에서 가능합니다.

Q

[질문] 기가몬 도입시 초기 구축비용과 운영상에서의 유지보수 비용의 경쟁력이 어떻게 되는지요??

김상현 2020-11-03 15:05
A

기가몬과 비교하기는 어렵습니다. 데이터 센터 스위치에 대한 디자인, 구축, 운용을 하는 솔루션입니다.

Q

[질문] 네트워크 장애 발생시에 실시간으로 탐지하고 개선할 수 있는지 그리고 운영 비용은 어느 정도까지 절감이 되는지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1-03 15:04
A

앱스트라에서는 IBA를 통해서 실시간 감지하며, https://apstra.com/ko/korea/why-apstra/data-center-network-automation-savings-calculator/ 앱스트라 홈페이지에서 카펙스 오펙스 계산을 해보실수 있습니다.

Q

[질문] 네트워크 자동 운용에서 인프라 민첩성 효율이 무척 높은데요, 네트워크 관리자가 없는 상황에서도 도입이 가능한가요?

오태정 2020-11-03 15:01
A

기본적인 데이터센터 네트워크를 이해하신다면 특정 벤더의 설정 기술이 없어도 도입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