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OCI를 2세대클라우드라 표현하던데 기존 1세대와의 핵심 차이가 궁금합니다

박주혁 2020-09-22 14:35
A

핵심 차이는 성능과 보안입니다.

한국오라클_정철진 2020-09-22 14:39
Q

[질문] 막상 솔루션을 도입해도 운영 직원의 숙련도 부족으로 어려움이 따를텐데 교육은 어떻게 진행되는지요?

이승환 2020-09-22 14:34
A

고객의 요청에 따라 운영에 대한 교육 지원 가능합니다.

한국오라클_정철진 2020-09-22 14:36
Q

[질문] OCI 부분에서 고객사의 온프레미스(On-premise) 보안 장비를 OCI 클라우드 Zone에 설치 연동이 가능 한지요 ?(예, 고객사 원격 연동 VPN장비를 OCI 보안 Zone 설치 운영이 가능여부 )

김재일 2020-09-22 14:32
A

외부에서 OCI에 접속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인터넷 망 / VPN (터널링), 전용망 (FastConnect)가 있습니다.

한국오라클_정철진 2020-09-22 14:38
Q

[질문] IaaS 기반의 VM이나 DBCS등과 같은 PaaS 시스템 Instance에 대한 시스템 보안, 접근제한, IDS/IPS 적용은 어떻게 해야 하나요? 3rd Party 솔루션을 사용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김정환 2020-09-22 14:3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IAM 기능 부분은 SSO + 권한관리 + 자원관리 및 보안정책 수립 + Provisioning이 모두 가능 한지 문의 드립니다.

김재일 2020-09-22 14:27
A

오라클에서 제공하는 IDCS를 통해 가능합니다.

한국오라클_정철진 2020-09-22 14:28
Q

[질문]OCI보안을 운영할 때, 어떤 관리 요소와 장애, 효율성에 유의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지정호 2020-09-22 14: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클라우드 보안사고의 대부분은 사용자의 실수 때문이라고 하는데, 사용자 실수로 인한 보안사고를 막아주는 별도의 안전장치가 있나요?

한기영 2020-09-22 14:23
A

네. 고객의 실수에 의한 보안사고를 막아주기 위해 Cloud Guard, Maximum Security Zone, Data Safe등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한국오라클_정철진 2020-09-22 14:25
A

광범위한 질문으로 보입니다. 우선, 오라클이 제공해 드리는 보안솔루션은 Best Practice를 통한 보안정책을 제공해 드리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기본 보안 정책을 적용하시고, 후에 고객의 환경에 맞도록 수정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오라클_정철진 2020-09-22 14:32
Q

[질문]오라클이 자사 클라우드를 소개할 때 보안이 강화된 2세대 클라우드라고 강조하는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한주희 2020-09-22 14:2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기업이 오라클 클라우드를 이용할 때 오라클이 해주는 것 외에, 기업이 신경써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타 보안 솔루션과 오라클의 호환은 잘되는 편인가요?

이정한 2020-09-22 14:1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KB국민은행의 AI & RPA 도입사례는 금융권에서 선두에 위치해 있다고 여기면 될까요?

김성균 2020-09-18 15: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현재 적용중인 RPA의 범위는 어느정도로 Deep한지 궁금합니다!

김성균 2020-09-18 15:05
A

전체 업무 효율화에 대한 목표시간을 두고 전행적으로 추진 중에 있습니다.

KB국민은행_구태훈 2020-09-18 15:10
Q

[질문]현재 국민은행에서 AI 기반 금융 상품 활용과 수익에 대한 정보를 고객에게 제공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더불어 전체 고객 중 몇 %나 활용하고 있는지요?

지정호 2020-09-18 15:05
A

관련된 기사입니다. https://www.ajunews.com/view/20200615074725311

KB국민은행_구태훈 2020-09-18 15:11
Q

[질문] KB국민 등의 금융권 외에 커머스 분야에 대한 적용 부분 사례가 있으면 말씀해주세요.

이종우 2020-09-18 15:04
A

기존 유통 및 전자상거래도 고객분석, 상품분석, 추천서비스 등의 다양한 분야에 인공지능 알고리즘은 적용되어 왔었습니다.

KB국민은행_구태훈 2020-09-18 15:13
Q

[질문] 금융권에서 AI 기반의 RPA 적용 사례가 있는지요?

김수열 2020-09-18 15:02
A

다양한 RPA사례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주로 내부 업무 효율화 측면입니다.

KB국민은행_구태훈 2020-09-18 15:03
Q

[질문] 센스톤의 인증보안기술 OTAC 적용시 주요한 이슈와 선행해야할 과제는 무엇일까요?

김상훈 2020-09-18 15:02
A

OTAC 기술을 적용하기 위해서 클라이언트에는 다이나믹 인증코드 생성모듈이 필요하며 인증코드 수신부(인증서버)에는 코드를 해석할 수 있는 모듈이 필요합니다. 클라이언트는 최초 1회 등록(register)하고 이후에는 서버 또는 네트워크 연결없이 클라이언트 측에서 생성되는 다이나믹 인증코드만으로 인증/식별이 가능합니다. 답변이 늦었습니다. ^^;;

센스톤 2020-09-18 20:01
Q

[질문]DT 변화 속에 고객이 금융에서 요청하는 이익 추구에서 금융권(보험,주식 등)과 특히 국민은행은 어떤 부분(AI 투자,24시간 접근 편의성 등)을 중점으로 보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정호 2020-09-18 14:58
A

고객 경험을 개선할 수 있는 Conversational AI 부분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_구태훈 2020-09-18 15:07
Q

질문) AI 데이터가 중요한데 각종 데이터를 어떻게 수집을 하는지 궁금합니다.

김경훈 2020-09-18 14:57
A

내부 데이터 및 외부 데이터 수집이 현재도 진행 중입니다. 특히 외부 데이터 관련 수집 방안은 수집 대상 및 대상 데이터 항목에 대해서 지속적으로 보완되고 있습니다.

KB국민은행_구태훈 2020-09-18 14:59
Q

[질문] 센스톤(Ssenstone)은 차세대 인증서 시장을 리딩하는 기업으로 인정받고 있으나 아톤(ATON), 이니텍(Initech), 코리아엑스퍼트(KoreaExpert) 등 수많은 신생 강력한 경쟁사들이 존재하는데 이들과의 차별점은 무엇일까요? 금융권 보안에 특화 되었다든지… 타겟포인트 또한 듣고 싶습니다!

김상훈 2020-09-18 14:57
A

안녕하세요. 센스톤은 테크기반 스타트업으로써 새로운 기술을 다양한 산업에 빠르고 민첩하게 접목하는 비즈니스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그 방향에서 언급하신 업체들과 경쟁상태에 놓일 수는 있으나 센스톤만이 가진 독보적인 기술력과 강점을 살려서 최대한 경쟁 우위를 확보하려고 합니다. 그리고 센스톤은 국내에서 안정적인 매출을 확보와 동시에 글로벌 인증 시장에 진출하여 또다른 기회를 발견하고 있습니다. 금융권 보안은 우선 FIDO인증에서 다시 사설인증으로 넘어가는 중으로 저희 역시 준비하고 있습니다. 현재 타겟포인트는 국내 포스트공인인증서와 글로벌 포스트코로나 시대를 겨낭해 인증에 대한 시각으로 사업을 만들고 있습니다. 답변이 늦었습니다. ^^;;

센스톤 2020-09-18 19:16
Q

[질문] 로우코드(low-code) 플랫폼의 주요기능인 핸드 코딩(hand coding)을 최소화 한 상태에서 빠른 애플리케이션 개발과 딜리버리를 가능하게 해주는 매우 유용함은 충분히 공감하는데, 이에 따른 우려되는 부작용은 어떠한 것들일까요? 보안상의 취약점 노출이라던지, 완성도에서의 미비함 등 채택시 주의해야할 사항 언급 부탁드리겠습니다.

김성균 2020-09-18 14:19
A

이슈에 대해 말씀 드렸던 내용이라고 보실수 있을 것 같아요. 아무래도 전문 개발자가 아닌 일반 사용자가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사용오류, 잘못된 데이터사용 및 생산 등의 문제가 있을 것 같아요 그리고 많은 플랫폼들이 만들어져 나오다 보니 충분히 검증되지 않은 제품들도 있죠. 또한 사용자관점에서 필요한 기능을 제공하는지 사용하고자 하는 환경에 적합한지에 대한 고민도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플랫폼사용을 검토하신다면 사전이 이런 것을 검토해 보실 필요가 있을 것 같아요

김대원 2020-09-18 14:26
Q

[질문]빅데이터 수집 후 AI와 머신러닝 등을 활용하여 분석을 잘하기 위한 사전 준비 작업은 어떤 것들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더불어 Elastic과 타 분석 솔루션과 차별점에 대해서도 문의합니다.서울리전을 통해 비용과 처리 속도에도 어느 정도 영향이 있을지요?

지정호 2020-09-17 15:4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