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SD-WAN을 도입해야하는 이유를 한마디로 말씀해주신다면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0-07 14:24
A

회선을 A/A 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고, 어플리케이션 속도 향상, 안전성 향상, 비용 절감등 쓰지않을 이유가 없습니다. ^^

김세원 2020-10-07 14:26
Q

[질문] 애플리케이션이나 Path 모니터링을 위한 품질을 실시간으로 측정을 해야 할텐데요, Active방식(TWAMP/Y.1731)으로 측정하나요? 아니면 Passive 방식으로 전수패킷을 수집하여 측정하나요? Active방식으로 Latency/Jitter/Loss/RTT 통계등을 측정하려면 모든 장비에서 configuration이 필요할텐데 그런 부분에 대한 불편 또는 이슈는 없는것인지요?

이승조 2020-10-07 14:24
A

BFD protocol을 사용하여 SD-WAN 장비간 tunnel에 대한 품질(Latency/jitter/loss)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담신청해 주시면 도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시스코 2020-10-07 14:28
Q

[질문] 현재 내부 자동화 장비에서 온프레미스 시스템으로 연결하여 운영중인데요. 온프레미스를 클라우드로 이전했을때 SD-WAN을 활용하면 내부와 같은 속도를 낼수 있을까요?

이규승 2020-10-07 14:23
A

네! 클라우드와 연결된 대역폭에 따라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상담 요청 주시면 도와드리겠습니다!

시스코 2020-10-07 14:26
Q

(질문) 운영상 원가 절감 요소로는 무엇이 있을까요?

강덕진 2020-10-07 14:19
A

고객사 상황에 따라, 백업 전용선을 인터넷회선(DIA) 으로 변경하여 회선 비용 점감을 할 있습니다. 인터넷 회선의 품질 저하시 SD-WAN 을 통해 실시간으로 전용선 메인으로 변경 가능합니다.

김세원 2020-10-07 14:22
A

사용하고자 하는 기간 및 기능에 따라 라이선스가 구분되어 있습니다.

김세원 2020-10-07 14:18
A

라이선스는 기간/속도/기능 으로 구분되어 선택가능합니다.

김재성 2020-10-07 14:19
Q

[질문] SD-WAN은 멀티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우선순위 부여가 가능한지요?

이규승 2020-10-07 14:16
A

네 SD-WAN 멀티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서 우선순위 부여가 가능 합니다.

윤지훈 2020-10-07 14:19
A

네! 현재 AWS, Azure에 대한 멀티 클라우드 구성을 지원하며 SD-WAN 장비에서 헤당 public cloud로 갈 수 있는 경로를 지원합니다.

시스코 2020-10-07 14:23
Q

[질문] 현재 MPLS (업무) 와 IPSec VPN(인터넷) 으로 이중화하여 전용회선 Down 시 VPN 으로 Fail-Over 하여 사용중입니다. 인터넷을 통해 Office 365를 사용하고 있는데, SD-WAN을 사용하여 Office 365 사용이 개선이 될까요? 전용회선이 아닌 기존 인터넷회선으로 계속 통신하는건데 어떻게 개선이 되는걸까요?

홍석빈 2020-10-07 14:14
A

네 인터넷을 통한 Office 365 사용은 물론 기존 MPLS를 통해서도 사용 할 수 있는 SaaS 서비스를 지원 하고 있습니다.

윤지훈 2020-10-07 14:17
A

SD-WAN은 Active-Active로 구성할 수 있으며, Office365 사용시 SD-WAN cloud on ramp for SaaS 기능을 통하여 회선 품질이 좋은 쪽으로 Office365 트래픽을 보낼 수 있습니다.

시스코 2020-10-07 14:22
A

Office 365는 인터넷 회선으로밖에 통신이 안되는데, MPLS 전용회선으로는 통신을 할 수가 없습니다. 이유는 Office 365 서버가 Cloud 에 있기때문입니다. 그럼에도 품질이 개선이 될까요?

홍석빈 2020-10-07 14:23
Q

(질문) SD-WAN 을 도입시 사전 준비사항이나 고려해야할 사항은 무엇이며, 도입시 최소의 비용으로 최대의 효과를 볼수있는 가장 적합한 산업 분야는 어디라고 생각하시나요?

방극민 2020-10-07 14:14
A

Cisco SD-WAN을 도입시 사전 준비 사항이나 고려사항은 세션 후반에 자료가 준비 되어있습니다. 가장 적합산 산업 분야는 여러가지가 준비되어 있으니 추가로 문의 주시면 상세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윤지훈 2020-10-07 14:16
Q

[질문] sd-wan들의 자료들을 보면 기능적인 부분은 대동소이 한거 같은데 시스코만의 특장점, 강점이 어떤게 있나요?

박종주 2020-10-07 14: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국내 관공서에서도 SD-WAN을 사용하는 곳이 있는지요 ?

지규성 2020-10-07 14:12
A

국내 대기업 관련 레퍼런스는 있지만, 아쉽게 아직 관공서 레퍼런스는 없습니다

김세원 2020-10-07 14:14
Q

[질문] 단순하지만 가장 위험한 보안불안인 인적오류(혹은 에러)에 대한 대응방안이 있으신가요?

차지용 2020-10-07 14:10
A

설정 변경 작업 시 가장 많은 인적오류가 발생 하는데요. Cisco SD-WAN에서는 설정 변경 시 최종 확인등을 통해서 최소화 하고 있습니다.

윤지훈 2020-10-07 14:13
Q

(질문) SD-WAN에서 보안 처리 방식은 어떤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습니까?

방극민 2020-10-07 14:09
A

보안 방식은 인증서를 기반으로하는 IPSec 을 사용 합니다.

윤지훈 2020-10-07 14:11
Q

[질문] SD-WAN에서 QoS 지원, 트래픽 관리 기능도 포함되어 있는지요?

이규승 2020-10-07 14:07
A

네. QoS 및 트래픽 관리가 가능 합니다.

김세원 2020-10-07 14:09
A

안녕하세요. Cisco SD-WAN에서 QoS 및 트래픽 관리 기능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윤지훈 2020-10-07 14:09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Qradar, splunk, arcsight를 포함하여 국산 siem들과의 연동이 가능하며 연동한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Q

[질문]다크트레이스 솔루션만이 가지는 타 경쟁사 대비 어떤 장점이 있나요

이근택 2020-09-25 14:55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인공지능의 기술을 이용해서 위협을 탐지, 대응 그리고 분석까지 자체적으로 가능한 솔루션은 현재 다크트레이스가 유일합니다. 더 많은 장점들이 있지만 가장 핵심으로는 인공지능 자체의 기술 발달이라고 말씀드릴 수 있겟습니다.

Q

[질문]AI를 통해 탐지된 위험에 대하여 먼저 검증하거나 오탐에 대한 점검은 어떻게 이루어지는 지 궁금합니다.더불어 차단 등 정책 결정은 바로 이루어지게 되는지 궁금합니다.시뮬레이션 을 통해 먼저 검토도 가능한지요?

지정호 2020-09-25 14:47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크트레이스의 경우 비지도학습 뿐만 아니라 지도학습도 차용하고 있기 때문에 미리 검증하거나 소위 오탐이라 불리우는 부분에 있어서 담당자의 지식을 넣어주어 예외 처리 혹은 정상 처리가 가능합니다. 차단과 같은 결정의 경우에는 confirmation mode라고 하여 선보고 후차단의 개념으로 차단이 필요한 트래픽을 담당자에 미리 알람을 띄워준 후 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모드로 운영이 가능합니다. 물론 선차단 후보고의 개념도 가능합니다. 시뮬레이션을 미리 해볼 수 있는 부분도 제공하고 있어 특정 서브넷, 특정 디바이스, 특정 위협에 있어 시뮬레이션을 해볼 수 있는 부분도 가능합니다.

Q

[질문]보안현장에서 AI와 협업하기 쉽지 않은데 전 세계 중에 다크트레이스가 1위 보안솔루션 인데 여러가지 실제화면에서 어떻게 하면 복잡한 문제로 되어도 이번계기로 AI와어떻게 하면 협업이 가능한지요?

강민식 2020-09-25 14:45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특히 복잡한 문제로 발생하는 위협의 경우 AI 인공지능 분석가를 통해서 위협의 순서에 따라 인과관계를 분석하고 상관관계를 가시성 있게 보여주는 기능이 있기 때문에 이 기능을 통해 조금 더 협업하시는데에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A

네 좋은 답변 감사드려요.~

강민식 2020-09-25 14:53
Q

[질문] 다크트레이스는 어떤 정책으로 업데이트나 패치를 하는지 궁금합니다.

육운수 2020-09-25 14:40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다크트레이스에는 정책이나 룰을 가지기 보다는 모델링을 통해 새로이 업데이트 되는 위협들에 대한 모델들을 주기적으로 업데이트 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인공지능의 엔진으로는 계속적으로 위협을 탐지하기 때문에 이를 표시할 수 있는 모델에 있어서 업데이트를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Q

[질문] 동일 서브넷상에서 Becon 통신을 통해 공격하는 APT 공격을 탐지/차단 할 수 있을까요 ?

이호승 2020-09-25 14:36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동일 서브넷에서 발생하는 비커닝의 경우 미러 트래픽을 워크그룹 스위치나 엣지스위치에서 받는 경우에 탐지가 가능합니다.

Q

[질문] 탐지 이벤트에 대하여 어떤 조치를 취하라고 가이드를 제공해줄수 있는지요.

이호승 2020-09-25 14:35
A

질문주셔서 감사합니다. 탐지된 위협의 경우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간단한 가이드라인 그리고 AI 인공지능 분석가에서 어떤식의 조치가 취어저야 하는지 추가 내용을 함께 제공해드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