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코로나19로 인하여 비대면/언택트 중심으로 원격진료 허용의 가능성이 커지고 있는데, 이와관련한 IT 산업의 변화와 기회는 무엇일까요? 타 선진국들은 많은부분 이미 원격진료가 진행중이던데..

김상훈 2020-06-25 14:4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코로나 이슈로 인하여 최대 재택기간 연장, 비대면, 언택트 등등 전면적인 변화가 불고 있습니다만... 백신의 개발 및 배포로 인하여 이러한 이슈가 정리가 된다면... 많은것들이 제자리로 돌아갈텐데... 이는 집중 설비 투자와도 맞물려 있습니다.. 코로나 이슈 진정이후 지속될 분야와 복귀할 비즈니스 분야는 무엇일까요? IT 분야에서..

김성균 2020-06-25 14:36
A

제가 미래학자는아니지만, 기본적으로 클라우드 기반의 생활 서비스 영역은 더욱 발전이 기대될 것으로 예측됩니다

원투씨엠_신성원 2020-06-25 14:44
Q

[질문] 전자서명법 개정으로 공인인증서 대체제로 여러 간편 인증 방법들이 대두되는데... 비대면 인증 기술 OTID(One Time ID)의 경쟁력있는 특장점은 무엇인지요?

김성균 2020-06-25 14:30
A

환경에 따라 일회용 ID 를 적용할 수 있고, 멀티 인증 방식을 사용자환경에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보안성 또한 뛰어납니다.

코리아엑스퍼트 2020-06-25 14:32
Q

[질문] 라이선스 정책은 어떻게 되는지요 ? (Ex: 인증 디바이스 Client /Server, 인증 대상 시스템 수, Site 단위 등등.)

김재일 2020-06-25 14:28
A

유저수가 기본입니다. 상세 질의는 별도 연락 주세요^^

코리아엑스퍼트 2020-06-25 14:29
Q

[질문] MultiDevice 에서 OTID 를 지원 하시는지요 ? 즉, PC, 스마타트폰,테블릿 등 다수 디바이스에 해당 OTID 프로그램을 설치해서 사용 시 2차 인증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지요, 아니면 2차 인증을 위한 디바이스 수의 제약이 있는지요 ?

김재일 2020-06-25 14:23
A

지원가능합니다. 기업 정책에 따라 다르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한화&농협생명에서는 이미 멀티디바이스에 적용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코리아엑스퍼트 2020-06-25 14:24
A

디바이스의 수 제약은 없습니다 .

코리아엑스퍼트 2020-06-25 14:25
Q

[질문] 이용자단말기에서 일회성 ID를 주기적으로 생성한다면 인증서버와 인증을 수행 하기 위해서 Time Sync 는 어떻게 하시는 지요 ?

김재일 2020-06-25 14:16
A

UTC 기반으로 Sync 합니다.

코리아엑스퍼트 2020-06-25 14:17
Q

[질문] OTID의 적용되는 디지털 ID는 암호화 알고리즘은 어떠한 것을 적용하시는요 ?

김재일 2020-06-25 14:06
A

안녕하세요 김재일님, AES256암호화에 BASE32를 조합한 암호화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코리아엑스퍼트 2020-06-25 14:07
Q

(질문)미리정의한 워크플로워기준에 업무자동화 수행 중에 오류가 있으면 인터럽트 형태로 수동으로 업무 처리를 할 수 있는지요?

김재일 2020-06-23 11:17
A

안녕하세요. 업무에 따라 차이가 있을수 있습니다. 다만, 오류가 발생시 사람이 처리하도록 만들고, 담당자가 액션센터를 통해서 처리하고 나면 나머지는 다시 로봇이 수행하도록 구성할수 있을것 같습니다.

김형수 2020-06-23 11:18
Q

(질문) UiPass 의 AI 적용 알고리즘은 어떠한 기술로 적용은 하는 것 인지요? 반복적인 업무를 자동화 하고 그 업무에서 파생될 수 있는 업무들에 대해서 예측하여 자동화 시켜 주는 것 인지요?

김재일 2020-06-23 11:12
A

안녕하세요. UiPath에서도 ML 알고리즘을 RPA 제품과 RPA 과제를 발굴하고 운영하는데 적용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인 과제 발굴시점에서는 시스템 로그, 사용자가 발생하는 이벤트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UiPath 스튜디오에서 활용 가능한 워크플로우 초안을 만들어줄 수 있는 수준입니다.

김형수 2020-06-23 11:13
Q

[질문] AI 패브릭은 RPA를 목표로 개발중인 건가요? 적용사례와 로드맵이 궁금합니다.

김수열 2020-06-23 11:10
A

안녕하세요. 현재는 클라우드 버전으로 바로 사용하실수 있습니다. 올해 10월 기준으로 출시되는 20.10 버전에서는 온프레미스 환경도 제공할 예정입니다.

김형수 2020-06-23 11:11
A

현재 적용되어 있는 사례중에는 문서인식이 가장 많습니다. 그리고 간단하게 언어번역, 감성분석 같은 항목들도 바로 사용할수 있는 모델입니다.

김형수 2020-06-23 11:14
Q

(질문) 플로우의 기능은 뭐 뭐가 있나요? (차별점이 있나요?)

김권태 2020-06-23 10:57
A

플로우는 쉽게 이해하시려면 회사 업무에 최적화된 네이버밴드 같은 형태로 보시면 이해하시기 쉽습니다. (메신져 + 프로젝트 업무관리) 차별성은 5가지가 있습니다. 1. 직관적이고 쉬운 사용법 (밴드형태) 2. 업무관리/일정공유 등 다양한 협업 기능을 한곳에서 사용 가능 3. 사내 시스템과의 확장성 있는 연동 지원 4. SAAS/구축형 모두 가능 5. 프로젝트별로 쉽게 카카오톡이나 문자, 이메일로 초대해서 협업 가능

이학준 2020-06-23 10:59
A

www.flow.team 에서 무료로 시작해보실 수 있으니 지금 바로 가입해보세요 ^^

이학준 2020-06-23 11:00
Q

(질문) flow 구축사례을 보면..기업체의 팀,부서간.전사 업무처리 부분에 통합협업솔루션으로 보면 되는지요?

김재일 2020-06-23 10:57
A

맞습니다. 각 부서간 유기적인 협업이 가능하고 게시물공유, 업무 등록 및 진행상태 확인, 일정 공유등이 모두 가능합니다.

마드라스체크 2020-06-23 10:58
Q

(질문) Genesys pure cloud 는 major cloud provider 기준에 코리아 국내 리전에서 공급할 계획은 안 가지고 계시는지요?

김재일 2020-06-23 10:41
A

Genesys Cloud는 올해 5월부터 한국 리전에서 제공하고 있습니다.

제네시스_윤준경 2020-06-23 10:42
A

질문 감사합니다. 제네시스에 대한 답변을 따로 메일로 보내드리도록 할께요. 감사합니다. :)

DD튜브 2020-06-23 10:42
Q

[질문] 원격보안관제서비스는 보안장비에 대한 로그에 대해 원격으로 보내야하는 부담감이 있습니다. 마찬가지로 원격모의해킹이나 원격취약점점검에 대해 주요데이터 노출이나 유출에 대해 어떤 방안을 가지고 계시나요?

이정웅 2020-06-22 14:36
A

답변은 메일로라도 꼭 드릴께요 ~:)

DD튜브 2020-06-22 14:37
A

해당 질문은 메일 주소 남겨주시면 담당자가 확인 후 답변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K인포섹 2020-06-22 14:38
Q

질문) 이욱재님의 질문입니다. 문의1) 이런 자료를 정기적으로 제공받을수 있는 기관이 있을까요? 문의2) SK인포섹에서 블로그를 통해서 분기별로 라도 정기적으로 공개제공할 의사가 있을까요??

DD튜브 2020-06-22 14:31
A

SK인포섹에서 월간으로 발행하는 '뉴스레터'를 구독하시면 상세한 내용을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SK인포섹 2020-06-22 14:33
Q

[질문] OS 업데이트나 새로은 어플리케이션 등이 이루어 졌을 때 이러한 변화를 대상으로 메타데이터, 구성이나 동작 방식을 분석해보고 기존에 알려진 취약점의 정상 패치 여부나 신규 취약점을 미리 발견하는 국내 협의체나 조직 활동이 실질적으로 활성화 되어 있나요 ?

조형범 2020-06-22 14:31
A

해당 내용은 메일 주소를 남겨주시면 담당자가 확인 후 답변 드리겠습니다

SK인포섹 2020-06-22 14:35
Q

[질문] 스캠(Scam)공격은 APT 공격과 유사 공격 형태 인지요 ?

김재일 2020-06-22 14:15
A

스캠의 원인은 메일계정의 탈취로 부터 시작되며, APT와 유사한 점은 메일 계정 탈취 후 충분한 정보를 수집한 후에 공격을 수행한다는 점으로 볼 수 있습니다.

SK인포섹 2020-06-22 14:20
Q

[질문] 해킹이나 정보유출을 역추적하여 최초 출처나 시작 지점을 빠르게 찾아 내부 확산 방지나 개발 방지를 위한 최적의 기술적 방법이 어떤게 있을까요 ?

조형범 2020-06-22 14:14
A

운영중인 보안 솔루션을 통해 최초 이상징후의 로그 파악과 내부 시스템 포렌직을 통해 이상징후의 원인을 찾는 방법이 있습니다.

SK인포섹 2020-06-22 14:17
Q

[질문] SQL Injection, SMB 취약점 공격 등 공갹방법이나 대응책이 많이 알려진 공격기법들이 오래전부터 끊이지 않은 근본 이유가 뭘까요 ?

조형범 2020-06-22 14:10
A

SQL Injection 공격의 경우 대응책이 많이 알려져 있으나 시큐어 코딩 적용이 미흡하여 취약점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MB 취약점의 경우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체제의 취약점으로, 과거에 공개된 취약점은 대부분 패치되었으나 최근에 공개된 것은 패치가 미처 진행되지 못한 시스템들이 공격 당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SK인포섹 2020-06-22 14:16
Q

[질문] 국내에서 특별이 개인정보유출 비중이 큰 원인이 있을까요?

박선희 2020-06-22 14:09
A

개인정보유출 비중이 특별히 많은 이유가 명확하지는 않지만 개인정보의 활용성에서 차이가 있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SK인포섹 2020-06-22 14: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