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F5 오른쪽 그림에서 마스터노드 3대에 대한 VIP가 있어야하나요? 워커노드들은 VIP를 바라보나요?

김명수 2020-09-09 14:36
A

네 vip가 하나 있어야 하고 그림의 구성은 상위 dns에 vip에 연결된 domain을 등록하고 이를 lb용으로 사용하는 구조입니다.

SKT 2020-09-09 14:37
A

고맙습니다!

김명수 2020-09-09 14:38
A

네 F5에는 VIP가 설정되어 있고, 관리자나 Worknode가 해당 VIP로 통신을 합니다.

F5 Korea 2020-09-09 14:38
Q

[질문]결국 TACO는 openstack을 k8s로 관리하는 개 념이고, VM과 Container 모두 배포할수 있는 가상화솔루션인가요?

우건희 2020-09-09 14:32
A

네 또한 vm이 필요없을 경우 kubernetes 클러스터를 lma 툴들과 함께 쉽게 배포 운영할때도 사용할 수 있습니다.

SKT 2020-09-09 14:36
A

네 감사합니다!

김명수 2020-09-09 14:38
Q

[질문] F5 장비의 api를 활용한 L4 binding/disable로 보여지는데요. 해당 인그레스 컨트롤러 서비스를 위한 F5의 기능은 좋다고 보여집니다. 그렇다면 기존 F5장비를 보유한 회사에서는 현재 데모로 나오는 api는 사용하지 못한다고 봐야 할까요?

김병수 2020-09-09 14:29
A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그러나, 보통 K8S 환경에 별도의 BIG-IP LTM 장비로 설치하시는게 일반적입니다.

F5 Korea 2020-09-09 14:31
Q

[질문] 쿠버 사용 안하고 있는 시스템에 쿠버 적용시 먼저 고려해야할 점 이 무엇일까요?

이종우 2020-09-09 14:28
A

운영하는 서비스가 컨테이너화 하는것이 정말 필요한지 고민해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SKT 2020-09-09 14:31
Q

[질문] 인그레스 컨트롤러를 통해서 pod으로 패킷이 들어가는 경우, pod내부 로그를 봤을때 src ip는 클라이언트가 유지 되나요?

김명수 2020-09-09 14:27
A

기본으로는 BIG-IP NAT IP가 보입니다. Client IP를 Log로 남기기 위해서는 추가적인 작업이 필요합니다

F5 Korea 2020-09-09 14:28
A

추가적인 작업이란게 어떤건지 개략적으로 알수 있나요?

김명수 2020-09-09 14:29
A

X-forwarded-for 및 BIG-IP에서 NAT를 하지 않고, 트래픽 플로우가 모두 F5 BIG-IP를 통과될수 있도록 구성해야 합니다.

F5 Korea 2020-09-09 14:32
A

답변 감사합니다!!

김명수 2020-09-09 14:32
Q

[질문]F5 BIG-IP IPIP tunnel 방식의 L3 DSR 구성을 k8s cluster mode 환경에서 사용 가능 할까요?

최현기 2020-09-09 14:25
A

네 tunnel방식의 경우 노드간 통신에 tunnel interface를 만들고 사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상관없이 사용 가능합니다.

SKT 2020-09-09 14:26
A

DSR 구성을 가능하나 Cluster 구조장 DSR 모드를 구성하는데는 한계가 있습니다.

F5 Korea 2020-09-09 14:27
Q

[질문] 최근 어플리케이션의 종속때문에 마이그레이션이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요. 쿠버네티스로 구성했을때 lock-in에 대한 우려는 줄일수 있을까요?

Leekyuseung 2020-09-09 14:22
A

네 아무래도 상용 솔루션이 아닌만큼 container를 사용하는 어떤 환경으로도 마이그레이션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SKT 2020-09-09 14:23
Q

[질문]nodeport 모드에서 컨테이너 재부팅시 port가 바뀌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도 F5 ctrl가 자동으로 맵핑해주나요?

우건희 2020-09-09 14:21
A

nodeport의 경우 30000번 이상 특정 포트를 앱에 할당해주는거라 변하지 않을텐데 이상하네요...

SKT 2020-09-09 14:24
Q

[질문] 자체개발된 서비스나 socket의 경우도 컨테이너화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Leekyuseung 2020-09-09 14:20
A

네 정확히 어떤 서비스인지는 모르겠지만 경험상 대부분의 applicaton이 불가능하진 않았습니다.

SKT 2020-09-09 14:21
Q

[질문]k8s cluster mode 에서 F5 BIG-IP 는 proxy mode 로 동작으로 SNAT 구성이 되어야 하나요? client ip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최현기 2020-09-09 14:18
A

네 맞습니다. 기본 NAT로 BIG-IP에서는 내부 Pod로 전달하며, Client IP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X-forwarded-for를 활용합니다

F5 Korea 2020-09-09 14:21
A

kubernetes에서 node의 ip로 SNAT 하던데, 인그레스 컨트롤러를 사용해도 마찬가지인가요?

김명수 2020-09-09 14:24
A

말씀해주신 x-forwarded옵션에서 확인해야하는건가요?

김명수 2020-09-09 14:24
Q

[질문]쿠버네티스:클러스터에서 F5 CIS에서 직접 전체 포워딩을 하면 장비에 대한 용량 산정과 장애와 지연 시 어떤 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정호 2020-09-09 14: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A

bgp 피어링을 할 수도 있고,아니면 f5 controller를 cluster mode로 구성해서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SKT 2020-09-09 14:10
A

어떤 방식을 추천하시나요?

조선웅 2020-09-09 14:13
A

일반적으로 iBGP를 많이 사용합니다. eBGP/iBGP 모두 사용은 가능하구요.

F5K 김재홍 2020-09-09 14:14
A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다면 cluster mode로 구성을 추천합니다.

SKT 2020-09-09 14:15
A

Calico는 기본을 BGP를 사용하며, VXLAN을 사용하시려면 Flannel이나 Canal CNI를 사용하셔야 합니다

F5 Korea 2020-09-09 14:09
A

감사합니다.

김명수 2020-09-09 14:10
A

네 지원합니다.

SKT 2020-09-09 14:12
A

아직 지원하지 않는다고 하네요. https://docs.projectcalico.org/networking/openstack/semantics

SKT 2020-09-09 14:13
Q

[질문] 변화가 많은 서비스에서 F5 쿠러네이스 시스템을 적용할 때 장점을 말씀해주세요.

이종우 2020-09-09 14:07
A

k8s에 bigip controller가 유연하게 자원의 변화에 대응해 네트워크 설정을 해주기 때문에 편리합니다.

SKT 2020-09-09 14:08
Q

[질문]쿠버네티스는 장점이 가볍고 빠르다인데 다수의 컨테이너를 동시실행으로 야기되는 부족함을 보완하여 많은 기능이 생겼다고 봅니다 엄청 정교함은 사용의 어려움이 아닐가요?

Leekyuseung 2020-09-09 14:0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쿠버네티스:노드 포트 에서 외부 BIG-IP와 내부 Kube-Proxy 장비 장애나 지연 시 어떤 방안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지정호 2020-09-09 14:06
A

노트 포트 모드의 경우 외부 BIG-IP입장에서는 하나의 Pod만 살아 있어도 모든 Node IP가 UP으로 보입니다.이에 노드포트 모드보다는 클러스터 모드로 구성하시기를 권장드립니다

F5 Korea 2020-09-09 14:08
A

노드포트 방식에서 지연 또는 기대하지 않은 응답이 발생할 경우 다른 페이지로 redirect를 사용하여 서비스 전체 문제를 보호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습니다.

F5K 김재홍 2020-09-09 14:10
A

이후 설명드리는 클러스터 방식의 사용을 권고 드립니다. Node Port 방식은 Node까지만의 Health만을 관리하기 때문에 실제 POD의 문제 여부를 직접 확인할 수는 없습니다.

F5K 김재홍 2020-09-09 14:10
Q

[질문] 멀티 클라우드 운영할 때 F5에서 제시하는 솔류션이 있으면 소개해주세요. 특히 일정 및 가격도 부탁드립니다.

이종우 2020-09-09 13:5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DDOS 공격을 최선으로 방어하기 위한 임퍼브만의 핵심적인 차별점은 어떤 것인지 궁금합니다.

지정호 2020-09-08 14:47
A

안녕하세요 지정호님. L3/L4 DDos 공격의 경우 실 시간 전 세계 44개 PoP 내 DDoS 장비가 실 시간으로 공격 이벤트를 서로 동기화하여 DDoS  공격을 판단하고 대응합니다.  각 거점 PoP이 독립적으로 검사하고 대응하는 방식이 아닙니다. 가장 큰 장점은 L7 DDoS 대응입니다. 방문자의 신원을 파악하여 합법적인 사용자는 허용하면서 악의적인 사용자 또는 봇을 앞단에서 처리할 수 있습니다.

강용 2020-09-08 14:54
Q

[질문]DDos공격에 대한 방어 기능 말고 악의적인 내용을 무력화 시키는 공격기능은 없는지요?

김용범 2020-09-08 14:43
A

문의하신 사항을 조금 더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김한기 2020-09-08 14:44
A

혹시 씽크홀과 같은 기능을 말씀 하시는건지요? 해당 기능은 제공하지 않습니다.

김한기 2020-09-08 14:45
A

WAF 기능을 통해 Request 내의 악의적인 내용이 있을 경우 탐지/차단 기능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