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 문서 타입에 대해 별도 전처리를 진행한 뒤 임베딩을 통해 벡터화를 사용 중에 있습니다. 내부적으로는 Langchain을 활용하여 유기적으로 동작 가능하도록 설계한 것이 특징이라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
Microsoft Teams 가 지원하는 환경 과 동일합니다.
말씀하신 바와 같이 자동적으로 일정을 잡아주는 auto 기능은 디웍스에서 지원하지 않습니다.
디웍스는 Azure 서비스를 사용하며 Azure 서버의 보안인증 수준과 동일합니다. https://learn.microsoft.com/ko-kr/azure/compliance/
microsoft 365 외에 연동이 불가능합니다.
디웍스의 동기화 기능은 Microsoft 365의 인사 정보 동기화 기능이 있으며 실시간 동기화를 지원하지는 않습니다.
조직도, 전자결재, 근태관리, 쪽지, 게시판 기능이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말씀해주신 사항이 OpenAI의 종량제 API를 말씀하신 거라면 비용적 측면에선 동일하다고 말씀드립니다 :)
금일 세미나의 세션이 다소 다양하게 준비되다 보니 5~10분정도 더 늦게 종료 될 것으로 예상되는 점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아직 두 솔루션을 동시에 도입한 사례는 없으나, 가상 실습실 가이드라인 및 공지사항 등을 채팅을 통해 질의응답 가능한 시나리오가 있습니다 :)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현재 D:VLAB에서는 OTP 등의 2차 인증 기능은 없습니다. 학교 포털과의 SSO 연동을 통해 이용을 하고 있습니다. SSO 연동은 학교 SSO 업체와 협의 후 개발을 진행해 주고 있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목적에 어긋난 질문이 입력되는 경우 예외 처리를 통해 다시 질문을 유도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해외대학의 장학제도에 대한 문서는 보통 현지 언어로 되어 있어 빠른 파악이 불가능할 것으로 파악됩니다. D:GPT는 문서의 내용을 언어와 무관하게 의미론적으로 벡터화시켜 이용하므로 이 또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