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공격으로부터 비즈니스 크리티컬 데이터를 보호, 격리 및 복구하는 사이버 위험 및 취약성에 대한 확인 및 실행 가능한 조언(사이버 회복 탄력성)을 받을 수 있을까요?

이경석 2025-04-25 14: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VulnDB, GitHub Advisory 같은 대체 취약점 데이터베이스의 도입은 실효성이 있을까요?

여현동 2025-04-25 14:22
A

도움이 될꺼라 생각합니다. 다만 상용(유료), 무료로 제공되는 정보의 범위나 내용에 따라 효과성의 폭은 달라지지 않을까 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24
Q

[질문] 보안 솔루션 전에 기업 입장에서 준비해야 하는 사항이나 필수 고려사항은 무엇인가요?

주영선 2025-04-25 14:2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주요 경쟁 제품이나 솔루션은 무엇이 있고, 경쟁 대비 차별화된 점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조한나 2025-04-25 14:1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실제 업무를 진행하다보면 외부의 침입공격이나 내부적으로 이상징후가 있을 때 실시간 감시가 통상 특정 프로토콜 혹은 네트워크 기반으로 이뤄지다 보니 어려움이 많습니다. 혹은 보안 솔루션을 가동해도 우회로 접근 시 대응이 쉽지 않은 현실입니다. 귀사의 관제플랫폼은 이런 점들을 어떻게 대응하여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5-04-25 14:19
A

기존 레거시 보안레이어를 구성하여 각개전투로 방어하며, 이를 단순히 SIEM에 모으는 것만으로는 가시성이 떨어질 수 밖에 없고 서로 다른 이기종 보안장비의 보안 로그간 연관성을 특정하기가 굉장히 어렵습니다. Google의 SecOps 플랫폼은 수집된 모든 보안 텔레메트리를 연관분석하여 서로 다른 이벤트 간의 연관성을 탐지하여 공격 간 연관성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Google의 보안 특성화 AI 엔진이 활용됩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31
Q

[질문] 주요 보안 벤더와의 협력을 통해 CVE 공백기를 어떻게 보완할 수 있을까요?

여현동 2025-04-25 14:15
A

뒤에 이야기나오겠지만 상용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해 안정적으로 정보를 공급 받는게 필요하지 않을까 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21
Q

[질문] 미국 정부가 최근 CVE 프로그램에 대한 자금 지원을 중단한 배경에는 어떤 정책적 또는 기술적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방성현 2025-04-25 14:14
A

최근 계속 뉴스에 나오는 정부효율화와 관련이 있지 않을까 합니다.

다온기술_고성종 2025-04-25 14:21
Q

[질문] 1.CVE 지연·누락·중복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필요한 개선 조치나 기술적 대안은 무엇이 있는지요? 그리고 CVE 중복/지연 문제가 탐지나 리포트 정확도에 어떤 영향을 준다고 보시는지요? 2.생성형 AI를 이용한 취약점 자동식별 및 분류체계 활용시, CVE 병목 해결에 어느정도 기여할 수 있다고 보시는지요? 그리고 취약점 진단 도구나 VM 솔루션에서 CVE 매핑 오류가 발생했을 때 대처 방안도 궁금합니다. 3.전 세계 CNA간 실시간 공유·검증을 위한 분산형 DB 혹은 블록체인 기반 CVE시스템에 대해 어떻게 평가하시나요? 4.MITRE/NIST 주도의 기존 CVE 관리 체계가 한계에 도달했다는 주장도 있습니다. 앞으로 CVE없이도 위협 인텔리전스를 통합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차세대 취약점 관리 체계’는 어떤 모습을 예상하시는지요?

조성영 2025-04-25 14: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VE 발급 지연 또는 중단 상황에서 조직 내부 취약점 관리는 어떻게 강화해야 할까요?

여현동 2025-04-25 14:12
A

MITRE ATT&CK 기반 탐지 규칙을 병행하여 운영, 벤더별 보안 패치 RSS/메일링리스트 자동 수집 스크립트 운영, ISAC/Threat Intel 등의 서비스를 구독하여 CVE 없이도 위협 정보를 받을 수 있는 채널 확보 하는 것 등이 대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17
Q

(질문) 최신 위협 방어에 있어 위협 탐지 엔진을 바탕으로 자동화 및 실시간 업데이트 수행이 가능한가요? 또한 서비스 확장을 위한 SSL 기반 트래픽을 포함한 다양한 트래픽을 확인할 수 있는지요?

이경석 2025-04-25 14: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CVE 프로그램 중단,반복 등의 영향으로 취약성 관리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CVE 프로그램 문제로 인한 취약성 관리 대안은 어떻게 세워야 하는지요?

지정호 2025-04-25 14:11
A

실제 보안 현업에서 CVE에 대한 의존도가 상당히 클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 CVE 코드와 이에 매칭되는 백데이터를 기반으로 보안 체계를 구축하고 계시는 고객사도 많으실거구요. CVE 프로그램에 대한 불안정성은 이러한 기업들에게 다른 대안을 생각해봐야 할 필요성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14
A

SecOps 솔루션 등을 활용하여 위협에 대해서 선제적인 탐지와 자동화된 대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Threat Intelligence의 다양한 PoC 코드 등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15
Q

[질문] 위협탐지시 가시성 확장 및 보안관제 능력강화가 모두 장애발생후 감지가 아닌 사전 공격징후까지 탐지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5-04-25 14:10
A

사이버 위협 사고가 발생하기 전에 사전적이고 선제적인 대응 체계를 수립하기 위해서는 탐지된 사전 징후에 대해서 분석하고 관련된 공격 그룹 등의 일반적인 TTPs 등을 분석하여 다음의 타겟과 위협 행위 등을 예측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Mitre att&ck의 TTPs 에 대한 정보들, Adversary TI 벤더의 방대한 위협 데이터 등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22
Q

[질문] CVE 프로그램 중단 사태가 발생했을 때, 기업 내부에서는 어떤 점검 절차를 우선적으로 수행해야 하나요? 그리고 CVE 대응을 위한 자동화 도구나 플랫폼이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이상욱 2025-04-25 14:09
A

우선적으로는 CVE의 공백을 내부적으로 대체할 수 있는지를 먼저 점검해야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취약점에 대한 수동 점검과 스캐닝 주기를 강화하거나 보안 벤더에 이를 대체할 방안을 요청해보시는 것이 현실적일 것 입니다. SecOps 솔루션 등을 활용하여 위협에 대해서 선제적인 탐지와 자동화된 대응을 수행할 수 있으며 Threat Intelligence의 다양한 PoC 코드 등을 활용하는 것도 좋은 방안이 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온기술 담당자 2025-04-25 14:13
Q

[질문] AI 에이전트 개발 및 배포 과정은 어떻게 이루어지나요? 로우 코드 개발 환경을 통해 비전문가도 쉽게 AI 에이전트를 구축할 수 있을까요?

김인섭 2025-04-23 15:08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Workflow Data Fabric이 제공하는 데이터 접근 제어는 사용자 역할별로 얼마나 세밀하게 설정할 수 있나요?”

정하나 2025-04-23 15:0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다양한 RDBMS와 NOSQL중 어떤 DB 및 비정형/정형등 다양한 데이터포맷에서도 일정수준이사의 성능이 보장되는지와 최적의 DB 및 데이터포맷 궁합등이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5-04-23 14:5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BP 사례 공유는 불가능한 걸까요?

구성완 2025-04-23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Gen AI기반에서 예상된 시나리오에 벗어난 예상치 못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한 예외 처리 및 적절한 대응방안도 포함되어 있는지요?

장혁수 2025-04-23 14:5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플랫폼 환경에서 데이터 손상 또는 유출 방지를 위한 보안 전략은 무엇이고 SAS는 이에 대해 어떤 방안을 제공하나요?

장혁수 2025-04-23 14:56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국내에서 업무 프로세스에 Workflow를 적용한 사례가 있을까요? 단순 요청/승인이 아닌 기존 레거시와 연동해서 활용하고 있는 사례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구성완 2025-04-23 14:54
A

네, 국내 다수 기업사에서 당사 WDF 기반으로 다양한 레거시 시스템과 연동하여 당사 솔루션을 사용하고 계십니다.

서비스나우 담당자 2025-04-23 14:56
A

BP 사례 공유는 불가능한 걸까요?

구성완 2025-04-23 14:57
A

설문에 요청 남겨주시면 별도 연락 및 공유드리겠습니다

서비스나우 담당자 2025-04-23 14:5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