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IoT sensor등의 정보는 shadow it로 보기 어렵지 않나요? Shadow IP 로 말씀하신 것이라면 이는 단지 Name Resolution과 object tagging의 문제가 아닌가요

이형준 2024-12-18 15:30
A

말씀해주신 name resolution과 tagging 외에 핑거프린팅, 프로파일링 등을 통해서 광의의 Shadow IT를 식별할 수 있다고 이해해주시면 될 것 같습니다.

Q

(질문) 브라우져 웹 격리를 하는것과 별도로 악성코드나 취약점 정보는 보관해서 학습하고 그 결과를 다시 엔지이나 정책 업그레이드에 다시 사용하는 아키텍쳐인지 궁금하고 그럼 업데이트는 폐쇄망에서는 사용이 어려운것인가요?

이원석 2024-12-18 15:29
A

자체 Sandboxing 기능과 더불어 3rd party의 클라우드 기반 보안 서비스와 연계하여 실시간으로 보안 정책에 반영하는 아키텍처입니다. 클라우드 기반 아키텍쳐이므로 폐쇄망에서는 다소 활용이 어렵습니다.

Q

[질문]기존 SASE에서 AI SASE로 변환하기 위한 사전 주요 작업은 무엇인지요? 온프레미스,하이브리드/네이티브 클라우드 인프라에 따른 도입 관련 주요 차별점과 요소는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4-12-18 15:28
A

수많은 보안과 접속 로그로부터 사람이 놓치거나 간과했던 이상 징후를 AI 기술을 이용하여 탐지하는 것이기에 이미 SASE를 도입하셨다면 AI SASE로 변환하기에 별도의 작업은 필요하지 않습니다.

Q

[질문] 1의 회선을 2개와 같이 보이게 하는 등 회선의 응용은 QoS 서비스를 제공하는것으로 보이는데 sd-wan 솔루션이 가시성도 Qos만큼 중요한데 가시성은 이렇경우 2개의 회선에 대한 것을 모두 모니터링 가능한것 인지요?

윤성원 2024-12-18 15:27
A

네, 2개 물리적인 2개 회선(언더레이)의 품질과 접속 상태, 트래픽 송수신 상태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고, 오버레이 네트워크도 동일하게 모니터링 가능합니다.

Q

[질문] HPE는 자사 인프라 이외에도 타사 인프라에 HPE SASE 탑재시 호환성 및 동일한 성능을 보이는지 궁금합니다

조한나 2024-12-18 15:26
A

HPE SASE의 경우 HPE 의 인프라 뿐만 아니라 타사 인프라와 연동하여도 호환성 및 성능에 있어서 동일한 성능을 보일 수 있습니다.

Q

[질문] 취약성이 발견되거나 서버나 클라이언트 시스템에서 의심스러운 활동이 발생시 방어전략은 어떻게하나요?

김철 2024-12-18 15:26
A

SASE 솔루션의 여러 역할 중에서 접속 대상 서버나 시스템에 자체적으로 존재 또는 발생하는 취약점을 탐지하는 기능은 자체 내장하고 있는 IDS/IPS 또는 SWG와 더불어 별도의 보안 솔루션과의 연계를 통해서 상호 보완적으로 적용 가능합니다.

Q

[질문] 행위 기반 탐지를 위해 스크립트의 정상 행위 범위를 미리 입력해 줄 수 있는지 그리고 어떤 방식으로 입력하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미리 입력할 필요가 없다면 스크립트의 행위가 정상인지를 어떻게 판별하는지 설명해주시면 고맙겠습니다.

최성태 2024-12-18 15:25
A

행위 기반 탐지는 엣지에서 서버에 접속하는 네트워크 액세스와 웹 접속에 대한 부분입니다. 스크립트든 실제 사용자의 행위이든 보호해야 할 시스템이나 트래픽의 특성을 사전에 정의하고 제어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Q

[질문] 제로트러스트 환경에서 전략이 각 워크로드를 상호 안전하게 격리하는 동시에 네트워크 보호를 더 세분화함으로써 승인되지 않은 횡적 이동 문제에 대처한다면 완성된 제로트로스트 보안 모델로 볼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김정숙 2024-12-18 15:25
A

승인되지 않은 횡적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로 트러스트의 정책과 기능을 도입하는 것이므로, 어느 정도는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합니다.

Q

[질문]1.AI기반 SASE 자동화기능 도입시 성능(속도,부하 등)에 대한 부담은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백업 및 장애복구, 시스템 유지보수, 데이터 보호와 같은 기술적인 운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도 궁금합니다. 2.첨단 인공지능(advanced AI) 및 자동화 기능과 같은 정교한 AI를 이용하여 보안위협 탐지/검출시 정확도와 속도 향상은 어느정도로 예상하시는지요? 그리고 AI를 이용한 위협 분석과 같은 서비스가 무엇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조성영 2024-12-18 15:24
A

1. 타 솔루션과의 연계 시에 어느 정도 발생할 수 있는 지연 외에 솔루션 자체로서는 성능에 이슈는 없습니다. 2. 아직까지는 정확도나 신속성을 고도화 하는 단계에 있으나, 추후 점차 성능을 확보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Q

[질문] SASE를 이용시 네트워킹과 보안 서비스가 통일된 아키텍처로 통합되어 네트워크 인프라가 단순화 및 보안성 강화를 도모하는것으로 이해되는데 기타 고객 입장에서 고려해야 하는 사항이 무엇인지요?

최형은 2024-12-18 15:23
A

기존의 네트워크 및 보안 솔루션과 정책들을 어느 정도 수준과 깊이로 SASE 솔루션에 마이그레이션하거나 병행할지를 면밀히 검토하시기를 권해드립니다.

Q

[질문] AI 기반 SASE 구축관련 이슈해결 사례가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4-12-18 15:2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다른 회사에게도 질문드린 내용인데요, 기존의 사용중인 Legacy 들과의 연동에 있어 Cato SASE는 어떤 장점이 존재하나요

이형준 2024-12-18 15:18
A

아래 연락처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정해숙 부장 SDR 010-4270-2027 [email protected]

Q

[질문] Cato PoP 클라우드 DC를 통해서 하나의 정책에서 관리가 가능하다는 부분이 장점일수도 있고 또는 밴더 종속성으로 인한 단점일수도 있을 듯 한데 케이토가 XDR, sase, SD-WAN 등을 모두 통합한 보안을 제공할때 별도의 솔루션은 필요없는것인지요?

윤성원 2024-12-18 15:18
A

저희는 모든 보안은 자체 개발해서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별도의 솔루션은 필요가 없지만 Active Directory는 기존 고객사가 사용하는 제품을 Integration해서 사용해야 합니다.

Q

[질문] 이러한 성능 체감 지표는 실제 사용자 경험치와 일치하던지요? 만약 차이가 있을 시 이를 파라메터의 변경으로 수정할 수도 있는지요?

이용석 2024-12-18 15:16
A

아래 연락처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정해숙 부장 SDR 010-4270-2027 [email protected]

Q

{질문]Cato에서도 URL 차단을 위해 다른 보안 업체와 같이 URL Category 정보를 제공하나요? 소스와 업데이트 주기가 어떻게 되나요?

양재영 2024-12-18 15:15
A

아래 연락처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정해숙 부장 SDR 010-4270-2027 [email protected]

Q

(질문) 가상브라우저 같은 경우 인증부분(세션/쿠키)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을 것 같은데, 이런 부분에 대한 문제는 해결된 것인지요? 해결하였다면 어떤 방법으로 해결이 가능하였는지 궁금합니다. 간략하게 가능하신지요?

김진수 2024-12-18 15:14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Detect된 Threat에 대한 severity의 설정도 가능한가요? 그리고 이러한 설정을 사용자가 할 수도 있을까요? 그리고 지능적으로 Threat가 확실하고 이에 대한 대응 프로세스가 명확히 정의된 경우 automatic detection to threat hunting과 같은 기능으로 관리자의 load를 줄여줄 수도 있는지요?

이형준 2024-12-18 15:13
A

네 가능합니다. 좀더 자세한 안내를 원하신다면 아래의 연락처로 연락 부탁드립니다. 정해숙 부장 SDR 010-4270-2027 [email protected]

Q

[질문] 성공적인 XDR 전략을 위해서는 클라우드, 엔드포인트, 네트워크와 같은 다양한 보안 그룹 간의 사일로를 단순히 훌륭한 XDR 솔루션 도입으로 허물 수 있을지요? 사람과 프로세스도 이에 맞춰 발전해야 할 것 같은데요. 지속적인 지원이 가능할지요? 내재화되기까지 시간이 상당히 걸릴꺼 같은데요.

장혁수 2024-12-18 15:13
A

전세계 고객사의 보안 데이타를 관리하면서 케이토의 전세계 PoP은 실시간으로 같은 데이타가 저장이 되고 있습니다. 즉 여러 보안 이슈들이 모이면서 실시간으로 같은 유형과 시간 그리고 여러 정보를 종합해서 Data Lake에서 관리가 되고 있으며, 전세계의 PoP에 실시간으로 보안 패치가 적용이 되기에 대응면에서 상당히 빠르게 적용되고 있습니다. 자세한 안내를 원하신다면, 아래 연락처로 문의부탁드립니다. 정해숙 부장 SDR 010-4270-2027 [email protected]

Q

[질문] 오탐/과탐을 줄일수있는 data lake 를 활용하신다고 하셨는데 그러기 위해서 pop 간의 데이터를 신속히 활용하는 방안이 필요할듯 하고 사고에 대한 정보를 거의 실시간으로 POP간 공유가 필요한데 POP간 데이터 업데이트의 간격은 어떻게 되는지요?

윤성원 2024-12-18 15:1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지금은 중국산 장비로 인한 보안이슈는 없나요?

허성현 2024-12-18 15:1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