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SSL 암복호화는 기본기능인가요? 혹은 타 솔루션과 연동사례는?

김수열 2020-10-28 15:17
A

SSL 암.복호화 기능은 기본기능이 아니며 GigaSMART의 라이선스가 있어야 사용이 가능합니다. 써드파티 SSL 암.복호화 전용장비와 연동 사례는 많습니다.

이상현 2020-10-28 15:27
Q

[질문] 하이브리드나 멀티클라우드로 운용하는 경우 보안 이슈나 분석 관련에서는 이슈 없나요?

이종우 2020-10-28 15: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핀테크 기업의 경우, 보안 시스템 구축 방안 및 데이터 거버넌스 분석 효율화 방안 궁금합니다.

박치규 2020-10-28 15:1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요즘들어 솔루션에 AI기술을 활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노키아에서 AI기술 활용 관점에서 경쟁사 대비 어떤 장단점이 있는지요?

이근택 2020-10-28 15:07
A

SR Linux를 포함한 네트워크의 운영자동화, 운영지원, 보안관제 등에 다양한 플랫폼 솔루션들이 AI 기능을 활용하여 자동화 및 정확도 향상을 지원합니다. 추가적인 상세내용이 궁금하시면 [email protected]으로 문의 주십시오. 상세자료 보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최성남 2020-10-28 15:12
Q

[질문] 기가몬을 사용중이고 추가 도입 진행 중입니다. 기가몬 솔루션으로 장애대응 자동화 구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이호승 2020-10-28 15:06
A

REST API를 통해 (자동화 구현 개발) 가능 합니다.

Q

[질문] 기가몬솔루션은 익시아 솔루션처럼 대용량IP 차단이나 위협인텔리전스를 통한 위협탐지차단 솔루션 제공 예정이 있는지요

이호승 2020-10-28 15:05
A

IP 차단을 위한 방안은 맵을 통해 필터링을 통해 가능 합니다.

Q

[질문] 기존에 운영중인 시스템 아키텍처와 통합시에 운영 안정성은 어떤지도 답변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0-28 14:59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네트워크 구성시 DDOS 장비와 방화벽은 기가몬 장비보다 윗단에 있어야 할것으로 생각되는데, 최적의 구성이 어떻게 되는지요?

김동욱 2020-10-28 14:51
A

DDoS장비도 기가몬과 연동하여 동작하는 고객사가 있습니다. 방화벽에 경우는 대부분 기가몬가 연동해서 동작합니다.

기가몬_이홍희부장 2020-10-28 14:52
Q

[질문] 기가몬 솔루션에서 각 보안 장비별 정책관리는 어떤 방식으로 통합관리되나요?

장동수 2020-10-28 14:48
A

GigaVUE-FM이라는 통합관리 서버에서 여러대의 gigamon 장비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이상현 2020-10-28 14:49
A

기가몬 특화된 기술(클래식 외) 방식을 프로토콜을 통해 필터링 합니다.

Q

[질문] 하이브리드나 멀티클라우드로 운용하는 경우에 가시성은 확보도 가능한 것인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윤태호 2020-10-28 14:31
A

가능합니다. v-시리즈 탭을 이용하여 가시성을 확보 할 수 있습니다.

Q

[질문]클라우드와 지능형 인프라 도입이슈와 해결사례가 궁금합니다.

전승호 2020-10-28 14:20
A

최근 트렌드가 소프트웨어 정의 기반의 클라우드와 기반 인프라 구축 일텐데요.. 아마도 가장 큰 이슈는 사용자가 기존과 전혀 다른 환경에 적응해야 한다는 것이 됩니다. 최근 여러 기업 및 공공에서 소프트웨어 기반의 인프라 도입이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그렇게 구축되는 지능형 인프라가 가져 오는 장점은 차치하더라도 궁극적으로 해당 인프라를 운용하는 운용진이 익숙해지는것외에 왕도는 없을텐데요.. 하지만 보다쉽게 해당 솔루션을 학습할수 있도록 다양한 정보 및 온라인 기반의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별도로 문의주시면 상세히 안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임영도 2020-10-28 14:24
Q

[질문] 미국 본사와 지역 본사 , 서울 사무실 이렇게 원격 근무가 있을 경우에 SDx·클라우드·HCI·보안·가시성 기술 중에서 가장 먼저 도입해야할 시스템으 추천해 주세요. 그리고 대략적인 구축 일정과 비용도 알고 싶습니다.

이종우 2020-10-28 14:13
A

자세한 내용은 여기서 설명드리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ydlim@juniper으로 관련내용을 문의주시면 관련 비용과 함께 상세사항을 전달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임영도 2020-10-28 14:16
Q

[질문] 클라우드와 지능형 인프라 증진에 따라 사용은 편해 질 수 있는데, 장애시에는 어떻게 신속하게 대처할 수 있는지, 방법을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은상 2020-10-28 14:1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사용하고있는 타사 시스템과 호환이나 확장은 어느 정도까지 지원이 가능한가요?

방극민 2020-10-22 15:37
A

UXM의 수집된 데이터는 DB형태로 저장되므로 타 시스템과의 호환도 가능합니다.

Q

[질문] WEB, WAS, DB의 그룹이 다수 존재할 경우 UXM에 이러한 그룹 관계 설정이 가능할까요?

전영진 2020-10-22 15:29
A

네, 가능합니다. 수동으로 설정도 가능하고, topology auto generate 기능을 통해, 다수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관계 구성도를 자동으로 생성 가능합니다.

Q

(질문) 이 제품의 핵심적인 요소를 말씀해주신다면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0-22 15:25
A

장애를 빠르게 선감지 하고, 장애 발생시 원인구간을 식별하여 서비스 품질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들수 있겠습니다. 또한 agentless 방식으로 플랫폼 제약을 받지 않으며 서비스 영향도 없이 적용이 용이하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Q

[질문] UXM 을 통한 성능진단시 응답시간 측정 허용 오차와 관련 설정 기능은?

김수열 2020-10-22 15:23
A

사용자가 정의한 기준 응답시간을 초과 하거나, 혹은 gap 차이가 있을 경우에 alert 하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Q

(질문)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장점 이외에 운영 효율측면의 특장점 알고 싶습니다!

김상훈 2020-10-22 15:17
A

두가지 관점에서 설명드릴 수 있겠습니다. 우선 운영측면에서 말씀을 드리면, 대규모의 시스템을 운영할 때는 현재 우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TunA 의 다양한 토폴로지뷰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서비스 장애 해결 측면을 말씀드릴 수가 있겠는데요 장애 발생시 어떠한 부분에서 현재 병목이 발생하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LGCNS_김경남 2020-10-22 15:20
Q

(질문) 앤드유저 모니터링 기능이 있는 타사 제품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타사 제품과 비교한 자료가 있을까요?

고문석 2020-10-22 15:16
A

아래 답글 확인 부탁드립니다.

Q

[질문] 기존 인프라와의 호환성은 유연한 편인가요??

김성균 2020-10-22 15:14
A

네 특별한 제약 사항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