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WEB, WAS, DB의 그룹이 다수 존재할 경우 UXM에 이러한 그룹 관계 설정이 가능할까요?

전영진 2020-10-22 15:29
A

네, 가능합니다. 수동으로 설정도 가능하고, topology auto generate 기능을 통해, 다수의 구성요소들에 대한 관계 구성도를 자동으로 생성 가능합니다.

Q

(질문) 이 제품의 핵심적인 요소를 말씀해주신다면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0-22 15:25
A

장애를 빠르게 선감지 하고, 장애 발생시 원인구간을 식별하여 서비스 품질 수준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점을 들수 있겠습니다. 또한 agentless 방식으로 플랫폼 제약을 받지 않으며 서비스 영향도 없이 적용이 용이하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Q

[질문] UXM 을 통한 성능진단시 응답시간 측정 허용 오차와 관련 설정 기능은?

김수열 2020-10-22 15:23
A

사용자가 정의한 기준 응답시간을 초과 하거나, 혹은 gap 차이가 있을 경우에 alert 하도록 설정 가능합니다.

Q

(질문) 비용적인 측면에서의 장점 이외에 운영 효율측면의 특장점 알고 싶습니다!

김상훈 2020-10-22 15:17
A

두가지 관점에서 설명드릴 수 있겠습니다. 우선 운영측면에서 말씀을 드리면, 대규모의 시스템을 운영할 때는 현재 우리 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지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합니다. TunA 의 다양한 토폴로지뷰는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두번째 서비스 장애 해결 측면을 말씀드릴 수가 있겠는데요 장애 발생시 어떠한 부분에서 현재 병목이 발생하는지를 신속하게 파악함으로써 시스템 운영의 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LGCNS_김경남 2020-10-22 15:20
Q

(질문) 앤드유저 모니터링 기능이 있는 타사 제품도 있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혹시 타사 제품과 비교한 자료가 있을까요?

고문석 2020-10-22 15:16
A

아래 답글 확인 부탁드립니다.

Q

[질문] 기존 인프라와의 호환성은 유연한 편인가요??

김성균 2020-10-22 15:14
A

네 특별한 제약 사항은 없습니다.

Q

(질문) 설명만 들으면 다 좋은것같은데요. 혹시 단점이 있다면 말씀해 주실 수 있을까요?

방극민 2020-10-22 15:09
A

현재 모니터링 범위는 java 기반의 어플리케이션과 엔드유저 모니터링 등에 집중되어 있으나, python 및 php 로 만들어진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모니터링은 현재 개발중에 있습니다. 빠른 기간내에 선보일 수 있도록 하겠습니다.

LGCNS_김경남 2020-10-22 15:13
Q

[질문] 제조업 공장단지 기업체 도입사례도 있나요? 운영 효율과 비용절감 효과가 궁금합니다.

김상현 2020-10-22 15:05
A

네.. 해당 분야에 적용한 사례는 다수 있습니다. TUNA 도입 이후 장애율이 대폭 감소하였으며, 이를 통한 tco 절감 효과를 갖고 올 수 있었습니다.

LGCNS_김경남 2020-10-22 15:07
Q

[질문] 국내 주요 금융권 도입사례 궁금합니다!!

김상훈 2020-10-22 14:57
A

DevOn F/W 관련 금융권 도입사례를 말씀하시는 건가요?

A

주요 은행, 카드, 보험 등에 많은 사례를 가지고 있습니다. 고객사명을 전부 오픈하긴 어려우니 실제 문의처로 다시한번 연락해주시면 소개자료 전달드리겠습니다.

Q

(질문) 도입시 가장 고려해야할 부분은 무엇이며, 효율성을 극대화할가장 적합한 분야는 어디라고 생각하시나요?

방극민 2020-10-22 14:5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적용시 주요 이슈사항과 제약사항 알고싶습니다.

김성균 2020-10-22 14:52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타사 유사 기능을 갖춘 제품과 비교했을 때 귀사 제품만이 지닌 가장 큰 장점은 어떤게 있을까요?

방극민 2020-10-22 14:50
A

가장 큰 차별화는 실 데이터를 자동 수집해서 오픈 예정인 시스템을 대량, 반복 검증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A

AS-IS거래의 요청/응답 트랜잭션을 Set로 처리하기 때문에 응답 결과 자동비교가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리고 대외 연계를 포함하여 프로세스가 중단되지 않는 장점이 있습니다.

LG CNS_신민성 2020-10-22 14:54
Q

[질문] TO-BE가 AS-IS와 다르게 반응하여야 하는 부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변환 규칙을 관리하는 도구(룰매니저)를 활용해서 이러한 다른 부분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TO-BE가 AS-IS와 다르게 반응해야 하는 부분은 PerfecTwin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전영진 2020-10-22 14:45
A

AS-IS와 TO-BE가 같을 수 없기 때문에 요청트랜젝션을 변조하는 "요청매핑"을 정의할 수 있고, 응답결과를 비교하는 "응답매핑"을 정의하실 수 있습니다.

A

PerfecTwin Rule manager기능을 활용하면 별도 테스트를 진행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Q

[질문] 멀티 클라우드 환경에서도 PerfecTwin 솔루션을 원활히 사용할 수 있나요?

임종택 2020-10-22 14:44
A

PefecTwin은 클라우드 이관/전환도 지원합니다. 질문하신 내용 가능합니다.

A

클라우드 환경에서 적용된 실 사례가 있으며 멀티클라우드도 지원이 가능합니다

LG CNS_김용식 2020-10-22 14:45
Q

[질문] TO-BE가 AS-IS와 다르게 반응하여야 하는 부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알려주신 도구를 활용해서 이러한 다른 부분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TO-BE가 AS-IS와 다르게 반응해야 하는 부분은 PerfecTwin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전영진 2020-10-22 14:4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PerfecTwin의 "변환규칙"을 필요에 따라 사용자가 수정할 수도 있을까요?

전영진 2020-10-22 14:36
A

가능합니다. 업무담당자/개발자가 진행합니다.

A

네 변환 규칙을 관리하는 도구(룰매니저)를 이용하여 수시로 수정이 가능합니다.

LG CNS_신민성 2020-10-22 14:37
A

[질문] TO-BE가 AS-IS와 다르게 반응하여야 하는 부분이 나타나는 경우도 있는데 알려주신 도구를 활용해서 이러한 다른 부분을 반영하는 것이 가능할까요? 아니면 TO-BE가 AS-IS와 다르게 반응해야 하는 부분은 PerfecTwin을 사용하지 않고 별도로 테스트를 진행하도록 계획하는 것이 효과적일까요?

전영진 2020-10-22 14:43
A

네 가능합니다

LG CNS_김용식 2020-10-22 14:38
Q

[질문]TunA-UXM에서 클라우드(단일,멀티,하이브리드) 환경에서 최적의 서비스 구성 검증을 통해 장애율을 어느 정도까지 줄일 수 있을지요?장애 개선을 통해 비용도 어느 정도까지 개선이 될지요? 온프레미스 환경도 검증이 가능한지도 문의합니다.

지정호 2020-10-22 14:36
A

우선 클라우드 및 온프레미스 환경도 지원 가능합니다. TunA 와 UXM 을 도입했을 경우 어느 정도의 장애율ㅇ

LGCNS_김경남 2020-10-22 14:38
A

장애율이 감소되는지 정량적으로 정확히 말하기는 어렵지만 발생하는 장애의 원인을 정확히 파악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응방안을 수행한다면 상당수의 장애는 해결하실 수 있습니다.

LGCNS_김경남 2020-10-22 14:40
Q

[질문]퍼펙트윈 자동 검증 실행 시 오류를 줄이기 위한 사전 작업은 어떤 것이 있을지요?자동 검증에서 검증이 어려운 부분은 어떤 부분들이 있을지도 문의합니다.

지정호 2020-10-22 14:32
A

요청/응답을 TO-BE 시스템으로 변환하는 규칙을 장 정의하고, 검증 기준일의 데이터를 일치 시키는 사전 준비작업이 요구됩니다.

LG CNS_신민성 2020-10-22 14:41
Q

[질문] perfecTwin 솔루션을 도입할 경우, 트랜젝션별 검증 시간은 어느 정도 될까요?

임종택 2020-10-22 14:32
A

트랜젝션(CRUD)는 즉각 검증이 가능합니다. 실시간으로 보시면 되겠습니다.

A

답변 감사합니다.

임종택 2020-10-22 14:39
A

AS-IS 시스템에서 발생된 거래 시각과 동일한 시각에 TO-BE 시스템에 거래를 재현할 수 있고, 속도를 빠르게 해서 검증할 수도 있습니다.(ex. 하루치 거래를 3시간에 고속 검증)

LG CNS_신민성 2020-10-22 14:36
Q

[질문] 테스트 수행 시, 현재 운영되고 있는 시스템의 사용자 로직이나 실제 부하정도를 수집할때 어떤방식과 기술로 수집을 하는건지요? 개인정보가 포함되지는 않는지요?

박기웅 2020-10-22 14:32
A

응답/요청을 네트워크 상의 패킷을 캡처하거나, 시스템에 저장된 전문로그를 이용합니다. 개인정보는 전문로그의 경우 고객사에서 변조 처리하여 제공합니다.

A

1. 웹서버나 연계서버의 N/W 패킷을 캡처하여 저장하는 방식을 적용하거나, 2. 운영 시스템의 요청/응답 전문 로그가 관리되고 있다면 로그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가 포함될 경우 변조 등의 보안대책을 적용합니다.

LG CNS_신민성 2020-10-22 14: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