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질문] ServiceNow와 Tenable의 통합이 보안 운영 자산 리스크 관리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관리되는 거 같은데 이 통합이 가져오는 가장 큰 시너지 효과는 무엇인지요?

신홍동 2025-07-09 14:44
A

자산 가시성 및 담당자 확인을 통해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도록 하며, SLA 기반으로 관리하여 효율적인 업무 처리가 되도록 시스템으로 지원합니다.

ServiceNow 2025-07-09 14:45
Q

[질문] 엔드포인트 단의 보안 상태와 네트워크 자산 간 연계를 기반으로 공격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기능이 있나요?

신익주 2025-07-09 14:42
A

Tenable에서는 클라우드, IT, OT, 웹 서버 등 자산의 정보와 취약점을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공격자가 실제로 악용할 수 있는 경로를 분석하여 관련 정보를 제공합니다.

테너블 담당자 2025-07-09 14:46
Q

[질문] 통합된 뷰에서 자산 라이프사이클 관리와 보안 패치 관리를 어떻게 연계하나요?

여현동 2025-07-09 14:42
A

서비스나우 워크스페이스를 통해 통합된 뷰로 확인하실 수 있으며, Change Management 를 통해 보안 패치를 관리합니다.

ServiceNow 2025-07-09 14:49
Q

[질문]현재 업계 동향 및 앞으로의 발전 방향에 대해서 문의드립니다

주창원 2025-07-09 14:41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시스템 문제 분석을 위해 이전 데이터를 사용하는 것이 프로세스 워크플로우의 최적화에 도움을주는데 AIOps 플랫폼을 사용하면 근본적인 원인 분석의 지연율을 어느정도 개선이 가능할까요? AIOps Platform 이후는 VSAs(Virtusl Support Agents)/Chatbots 서비스 등이 도입되어 Action Platform단계로 진화단계인데 관련 프로젝트는 어떻게 진행중인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5-07-09 14:40
A

RCA에 대한 지연율 개선은 케이스 및 환경에 따라 다르지만, 내부적으로 90%이상의 시간 절감을 달성하고 있습니다. 서비스나우는 VA (Virtual Agent) 를 넘어서 Generative AI 및 Agentic AI까지 현재 솔루션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ServiceNow 2025-07-09 14:42
Q

[질문] 기업이 위험 노출 관리 성숙도를 평가하고 개선해 나가는 데 있어 측정 가능한 지표나 프레임워크가 있다면 어떤 것이 있을까요?

김홍식 2025-07-09 14:4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IT 운영팀과 보안팀 간의 협업 흐름은 ServiceNow에서 어떻게 구현되나요?

여현동 2025-07-09 14:40
A

ServiceNow는 SecOps(보안 운영)과 ITSM(서비스 운영 관리)을 CMDB와 단일 워크플로우로 연결해서, 보안팀은 위협 탐지·분석·대응(Incident Response, VR)하고 IT 운영팀은 수정 조치(Change, Patch, Incident)을 하나의 프로세스를 기반으로 역할별로 협업할 수 있게 지원합니다.

ServiceNow 2025-07-09 14:43
Q

[질문] 취약점 진단, 관리 및 조치를 유기적으로 관리 할 수 있는 방안이 있을까요?

송유선 2025-07-09 14:37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서비스 구성도를 실시간으로 그려서 장애원인 파악 및 해결이 가능한 것으로 아는데 서비스구성도는 어떤 데이터를 기반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5-07-09 14:35
A

서비스나우 ITOM Discovery 를 통해 탐색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서비스매핑을 구성합니다.

ServiceNow 2025-07-09 14:35
Q

[질문] 2개의 서로 다른 솔루션들을 함께 사용할 때에도, 둘이 서로 잘 통합되어 있으면 사용자가 2개의 서로 다른 솔루션들을 함께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느끼지 못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ServiceNow와 Tenable를 함께 사용할 때 사용자는 2개의 서로 다른 솔루션들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을 느낄 수 있는지 느낄 수 있다면 어떤 부분에서 느낄 수 있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전영진 2025-07-09 14:34
A

Seamless 하게 연동/통합되어 있습니다.

ServiceNow 2025-07-09 14:36
Q

[질문] 해당 시스템은 IPS/IDS 같이 CVE 취약점에 대해서 관리자가 확인만 하는 용도이고 해결하는건 관리자가 수동으로 해야할까요?

신명수 2025-07-09 14:34
A

해결을 위한 운용인력이 수동으로 조치할 수도 있고 패치 매니지먼트 도구와 같은 자동화 도구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테너블 담당자 2025-07-09 14:38
Q

[질문] tenable 기반과 기존 방식과의 취약점 관리방안의 차이점이 궁금합니다

송유선 2025-07-09 14:33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서비스나우 플랫폼의 앱 엔진, 리포팅 및 대시보드등은 3rd 애플리케이션등과 연동시 커스토마이징이 가능한지와 별도 비용이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양재영 2025-07-09 14:33
A

연동 방법에 따라 상이하며, 커스텀이 가능합니다. 연동 방법에 따라 라이선스 및 커스텀 관련 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ServiceNow 2025-07-09 14:33
Q

[질문] 위협 우선순위 기반 자동 티켓 생성 로직은 어떤 기준으로 설계되나요?

여현동 2025-07-09 14:30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Tenable이 도출한 위험 정보와 ServiceNow에서 처리되는 보안 인시던트 정보를 IT 운영팀을 비롯한 유관 부서와 원활하게 공유하고 협력할 수 있는 최적의 방안에 대해 질의드립니다. Elastic과 ServiceNow의 통합이 보안, 사고 대응, 그리고 부서 간의 명확한 정보 전달을 보장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실제 업무 환경에서 각 팀이 상호 정보를 활용하여 시너지를 창출할 수 있는 구체적인 협업 모델이나 성공 사례가 있다면 공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최준현 2025-07-09 14:30
A

ServiceNow는 조직의 모든 영역에서 활용이 가능하게끔 One Platform 전략을 실행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Tenable로 OT/IT 환경 취약점을 스캔하고, Elastic으로 로그 실시간 수집하여 ServiceNow를 통해 인시던트를 생성하고 관련 변경조치를 하는 등 전체적인 추적할 수 있습니다. 관련하여 운영팀, 보안팀 등의 원활한 협업이 가능하게 지원하는 여러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습니다.

ServiceNow 2025-07-09 14:37
Q

[질문] 보안 인시던트 발생 시 효과적인 대응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ServiceNow의 보안 인시던트 대응(SIR) 기능이 Microsoft Security Copilot과 같은 AI 기반 도구와 통합될 경우, 위협 탐지부터 해결까지의 과정이 더욱 가속화될 수 있다고 알고 있는대, 실무에서 빈번하게 발생하는 피싱, 악성 코드 등의 위협에 대해 ServiceNow의 플레이북 기능을 활용하여, 탐지 및 대응 과정을 자동화하고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구체적인 시나리오 및 자동화 구현 전략에 대해 질의드립니다.

최준현 2025-07-09 14:30
A

상세한 시나리오와 구현 전략은 별도 문의를 주시면 상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ServiceNow 2025-07-09 14:31
Q

[질문] 클라우드 환경이나 OT ICS 환경과 같은 특수 환경의 자산에 대해서도 Tenable이 효과적인 탐지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하는지 궁금합니다?

김인섭 2025-07-09 14:25
A

Tenable은 전통적인 IT 자산뿐만 아니라 클라우드 및 OT/ICS 환경과 같은 특수 환경의 자산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탐지 및 분석 기능을 제공합니다.

테너블 담당자 2025-07-09 14:29
Q

[질문] 별도의 전용 보안팀 없이 신속하게 자산과 취약점을 파악하고 자동화된 대응 체계를 구축하고 싶은데 방안, 보유한 한정된 인력과 예산 안에서 위협 인텔리전스 기반 자동 대응(예: 자동 티켓 생성, 패치 워크플로우 연계)을 구축하기 위한 방안이 궁금합니다.

박복남 2025-07-09 14: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보안과 IT운영을 통합하여 운영하기 위한 IT운영자와 보안 전문가의 인식과 역할의 차이가 있는 부분을 어떻게 보완하여 정책과 조직을 통합하여 운영이 가능한지요? 서비스나우와 테너블을 통해 운영자가 사용하는 코드 등에 대한 전체적인 보안 취약점의 탐지와 대안과 개선에 대한 지원은 어떻게 되는지요?

지정호 2025-07-09 14:25

아직 답변이 없습니다

Q

[질문] 새로운 취약점에 대한 업데이트나 조치 방안 등에 대한 주기가 궁금합니다

윤상 2025-07-09 14:23
A

취약점의 위험성에 따라 업데이트 주기에 약간씩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주요 취약점의 경우 24시간이내 업데이트 됩니다.

테너블 담당자 2025-07-09 14:32